경제 이슈 1~3순위 합계,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로 응답
1년 후 생활형편 악화 요인, ‘경기 불황’ 가장 많이 꼽아

1년 후 서울 경기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 (출처: 서울연구원)
1년 후 서울 경기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 (출처: 서울연구원)

[스타트업4] 서울연구원(원장 서왕진)은 24일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19년 주요 경제 이슈’에 대한 정책리포트를 발표했다. 

정책리포트에 의하면 서울시민의 2019년 경제 이슈 1위는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였다. 1순위 기준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가 33.1%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드러났으며, 1~3순위 합계 응답도 53.4%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그다음 부동산 경기(12.6%), 최저임금 인상(9.2%), 생활물가 상승(7.4%) 순이었다.

또한 서울연구원은 서울시민이 바라보는 내년 각 경제 이슈에 대한 분석도 내놓았다. 서울시민 대다수는 13개의 경제 이슈 중 기준치 100을 넘어선 ‘4차 산업혁명 대응’(102.4)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 대해 크게 개선되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청년실업 및 고용(89.1),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88.5), 저출산 및 고령화(88.3), 소득 양극화(87.3)는 기준치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경제 이슈별 응답 항목으로는 ‘남북경협’ 문제가 36.6%로 개선될 것으로 응답했으며,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49%가 개선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내년에도 청년실업 및 고용, 저출산 및 고령화의 문제 해결과 함께 물가안정을 위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생산 하락, 서비스업은 전년 대비 증가

정책리포트에 따르면 서울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보다 7.1% 하락한 반면, 서울 경제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중 서울 제조업생산지수는 112.7로 전년 동월보다 하락했으며, 공업구조별로 보면 경공업 생산이 0.1% 증가했고 중공업 생산이 17.5% 감소했다.

또한 11월 중 서울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515만 6천 명) 대비 1.3% 감소한 508만 9천 명을 기록했고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84만 3천 명)보다 1.9% 증가한 85만 9천 명이라고 밝혔다.

 

물가상승, 소비지출 등 내년 경기 영향 줄 것

서울 소비자태도지수는 정책리포트 통계에서 표준화지수 기준 94.4로 전 분기 대비해 1.5p 하락했다고 밝혔다. 

서울연구원은 민생과 직결된 고용지표가 시민이 체감할 정도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가계소득 증가 및 서민물가 안정 등 시민 경제심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4/4분기 이후 서울시민 소비자태도지수는 고용지표, 가계소득, 서민물가 등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했다. 

또 현재생활형편지수가 전 분기보다 0.3p 하락한 87.4이며 미래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2.7p 하락한 91.1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후 가구 생활형편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이유는 경기 불황(31.4%)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가계소득 감소(26.7%), 물가 상승(15.6%), 가계부채 증가(12.9%) 순이었다.

한편, 소득수준 및 연령대 상관 없이 모두 물가상승, 소비지출 감소, 막연한 불안감 등으로 인해 1년 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민 주택·내구재 구입의사 전부 하락

서울연구원은 올해 4/4분기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보다 0.8p 하락한 83.8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이하·60대는 상승했으나, 40대와 50대는 전 분기보다 하락했다.

이어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2p 하락한 71.4로 여전히 기준치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주택 구입태도지수에서는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전 분기보다 하락했으며,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하락폭이 컸다. 이는 9.13 대책 이후 주택 매매가격 상승이 둔화되고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모든 권역에서 주택 구입태도지수 수준이 기준치인 100보다 크게 밑돌아 대부분의 시민은 주택구입 의사가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스타트업4=박세아 기자] pkl219@startuptoday.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