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정부 뒤흔들 1억명의 개미투자군단 투기열풍 사전 차단 의도

 
사진 제공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지난 2015년 하반기부터 2016년 초 사이 중국 주식시장의 폭락장세는 세계 금유시장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 넣었다. 지수가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져 거래가 중단되는 사태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 등 세계 주요 증시에도 여진이 이어져 각국 금융당국이 속수무책이었던 적이 있었다. 바로 중국 주식시장에 스마트폰으로 주식 매매를 주도하는 1억 명의 개미군단이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주식 광풍을 불러온 결과였다. 3년 전 겪었던 악몽과도 같았던 금융시장 불안이 이번에는 비트코인으로 촉발된 가상화폐 투기 열풍으로 번지자 중국 금융당국은 칼을 빼들고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시켰다.
 
주식투자에서 촉발된 투기열풍이 부동산에서 금, 그리고 가상화폐로 전개되자 이번에도 사전 예방에 나선 것이다. 13억명의 중국 인구중 1억명이 소위 개미투자군단을 형성, 돈 냄새가 나는 곳이면 집중 투자해서 중국 금융과 주택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까지 가격 급등락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판 투자심리가 세계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형국이다.
 
18일 중국경제금융연구소(소장 전병서)에 따르면 중국은 개미투자가가 1억명 이고 이들이 한 방향으로 쏠리면 나라도 못 막을 정도로 막강한 괴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의 아줌마부대로 불리는 "다마(大妈:아줌마) 부대의 돈냄새 맡는 '촉'은 쏠림현상이 일시적이고 집중적이라는 데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15년에 주가 폭등과 이후 폭락의 주범도 사채자금 장외신용으로 레버리지를 건  신용의 힘을 빌었고, 이어진 부동산 투기 역시  부동산투기단의 작품인 것으로 풀이했다.
 
중국 정부가 투기단속과 시장안정을 이유로 부동산 통일등기제와 부동산 보유세 부과를 검토하자 투기자금이 대거 금으로 몰려 금값을 치솟게 하더니 이번에는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가상화폐로 몰렸다는 것이다. 중국의 아줌마부대들은 중국사회의 "밥상권력. 출산력권. 통장권력"을 쥔 중국의 소비와 금융의 실세로 이들이 중국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투자군단이라는 분석이다.
 
우리로 치면 카카오톡과 같은 8억명의 웨이신(We chat) 가입자들이 웨이신 톡방에 어떤 주제든 올리면 답이 1분안에 나오고 돈이 될만한 정보 하나가 뜨면 1시간 이내에 13억대의 스마트폰으로 전파시켜 정보 유통속도가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는 점이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은 "지난 2015년 중순이후 중국증시의 급등락도 10만 위안(2000만 원) 이하 소액투자가가 전체 투자가의 80%가 넘는데 이들이 한 방향으로 몰리면 정부도 손 못대는 급등과 급락장을 만든다"면서 "금값이 속락하는데도 다마들이 금을 산 이유는 부동산투기로 2-3배를 먹었기 때문에 부동산 통일등기제와 보유세가 부과되면 감당이 안되기 때문에 이를 보관할 대체수단으로 금을 사들였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은 100 위안(1만7,000-1만8,000원)이 가장 큰 화폐단위라 중국의 집값이 대도시의 경우 400만-500만 위안을 기본으로 이를 현금보관하려면 보관해야할 돈을 쌓아둘 집을 다시사야 할 판이라 30-40% 금값하락은 신경 안쓰고 자금보관수단으로 금을 사는 재테크 차원이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당국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등 조치

이들 중국 다마(大妈:아줌마)들의 가상화폐 투기가 심상치 않게 광풍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중국 당국은 가상화폐 ICO(가상화폐 공개)금지를 시작으로 P2P(개인간 거래)까지 차단시켰다.
 
가상화폐가 익명성, 무국적, 무신용, 보안불안정이 중국 시진핑 정부의 부패타파와 리스크방지 그리고 위험관리 정책을 송두리째 뒤흔들 수 있는 파급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시진핑 1기 정부(2013-2017년)들어 가장 중점을 둔 정책은 "부패타파"였고, 2기 정부(2018-2022년)의 중점정책은 "리스크방지, 위험관리"를 내걸었지만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가 시진핑 정부의 이 두가지 정책목표에 반기를 든 것이다. 가상화폐의 익명성과 무국적성이 중국의 부패관리들의 재산 은닉과 해외도피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었고 2015년 개미들의 투기가 만든 주가 대폭락의 휴유증을 기억하는 중국정부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규제의 칼을 빼 든 것으로 중국경제금융연구소는 분석했다.
 
중국에서 비트코인이 가격이 폭등하고 거래가 늘자 중국에서 만든 가상화폐가 순식간에 50여개가 등장했고 기업들이 증권거래소에 기업을 공개하는 IPO하는 것 처럼 가상화폐를 ICO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다. 감독당국이 바로 조사에 나섰고 중국 감독당국의 판단은 99%가 사기라고 판단, 일거에 가짜 가상화폐를 중지시켰다고 이 연구소는 풀이했다.
 
중국 금융정책의 핵심은 과도한 기업부채를 낮추는 전략으로 부동산과 재테크상품에 몰려있는 돈을 주식과 채권의 발행을 통해 기업으로 가게해 기업의 자금부담을 줄이고 부채비율을 낮추어 금융리스크를 줄이는 것이었다. 때문에 창업반, 신산반 등의 시장을 육성하려 하는데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시장으로 돈이 몰리면 금융정책의 큰 줄기가 초장부터 옆길로 새자 과감하게 규제한 것으로 이 연구소는 진단했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