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으로 관련 기관 및 스타트업과의 협력 계획 전해
[스타트업투데이] ㈜한진은 2021년 경영목표를 ‘사업구조 혁신과 내실 강화를 통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선제적 대응기반 마련’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중점 추진 과제는 ▲이커머스 관련 역량 강화와 CSV 활동 및 신사업 강화 ▲인프라 및 자동화 투자 지속 ▲정보기술(IT)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한 스마트 비즈니스 환경 구축 ▲기업문화 개선이다.
㈜한진은 2020년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1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907억 원 대비 22.4% 증가했고 매출액은 7.5% 증가한 2조 2,16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2조 3,575억 원, 영업이익은 지난해와 비슷한 1,115억 원 달성을 위한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택배기사 과로방지 대책 이행을 위해 전국 주요 대형 서브 터미널에 자동화 설비를 설치하는 등 택배 근로환경 개선 투자금액이 반영된 영업이익이다.
㈜한진은 이커머스 관련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3년까지 택배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위한 케파(Capa) 확대를 지속, 올해는 일 191만 박스까지 확대한다. 또한, 콜드체인 시장의 성장세에 맞춰 현재 운영중인 서울복합물류 냉동·냉장 창고를 기반으로 신선물류 서비스도 확대한다.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인천공항 복합물류센터 GDC(global Distribution Center)와 이하넥스를 통해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의 물량을 집중 유치하고, 국내 항만운영법인인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HJNC),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 평택컨테이너터미널(PCTC)의 핵심고객 관리를 강화해 글로벌 Alliance 물량을 유지한다.
특히 원클릭 택배서비스, 내지갑속과일 기프트카드, 친환경 날개박스 공동구매 등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 활동을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한진의 경쟁력을 높여줄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에 나선다.
이와 함께 택배·물류 사업부문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신사업을 발굴하고 기존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도입한 ‘한진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해 관련 기관 및 스타트업과 협력해 신사업도 적극 발굴한다.
사업 경쟁력 강화와 IT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해 올해 2,135억 원의 투자도 계획하고 있다. 대전 및 동서울 허브 터미널을 메가 허브 터미널로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지속 실행하고 원주 택배 허브 터미널을 신축하는 등 택배·물류 거점과 자동스캐너, 휠소터와 같은 자동화 설비를 확대한다.
또한, 인천신항 배후부지 내 선사와 공동으로 물류센터를 신축하여 항만종합물류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인천, 부산, 평택에 위치한 컨테이너터미널에 하역 장비를 증설하는 등 터미널 인프라를 확충하여 항만 운영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과 택배시스템을 개선하고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도입으로 스마트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해 고객 서비스와 업무효율성도 강화한다.
㈜한진은 지난해 렌터카사업과 부산 범일동, 서울 독산동 부지 등 비핵심사업과 대체 가능한 부동산을 매각한데 이어, 올해에도 활용도 낮은 부동산과 유동화 가능한 주식을 매각해 투자 재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스타트업투데이=임효정 기자] hj@startuptoday.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