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내년 ‘중소기업 정책자금’에 5조 4,000억 원 공급
‘2021년 중기정책자금 운용계획’ 발표 한국판 뉴딜에 3조 원 선제 투입∙∙∙전체 57% 차지 24일부터 온라인으로 정책자금 신청 가능
[스타트업투데이] 올해 총 5조 4,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이 공급된다. 디지털∙그린 뉴딜에 2조 원, 지역균형 뉴딜에 6,000억 원 등 한국판 뉴딜에 총 3조 원의 예산이 선제적으로 투입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23일 「2021년 중기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하면서 24일부터 온라인으로 정책자금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중소정책자금은 기술∙사업성이 우수한 중소기업에 시중은행 대비 5~10년 장기 및 1.85~2.65% 저리로 융자한다. 성장단계별로 창업기 2조 2,500억 원, 성장기 2조 4,100억 원, 재도약기 7,500억 원으로 구분해 운영된다.
노용석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애로기업 지원확대와 K-방역 등 K-수출강소기업, 디지털 수출기업을 위한 전용자금 신설 등 기업유형별 맞춤형 지원도 강화한다”며 “정책금융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민간금융 강화의 차별성 강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 2조 원 지원
2021년 중소정책자금의 주요 내용은 ▲한국판 뉴딜 등 핵심분야 지원강화 ▲기업 유형별 맞춤형 지원 ▲수요자 중심의 제도개선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중심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 추진 등이다.
먼저 한국판 뉴딜 등 핵심분야에 총 3조 원이 투입됐다. 전체의 약 57%다.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에 2조 원, 지역균형 뉴딜 분야에 6,000억 원 등 한국판 뉴딜을 위해 2조 6,000억 원의 총액목표제를 설정했다. 여성기업과 사회적 경제기업에 4,800억 원을 배정했다.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에 2조 원을 지원한다. 디지털 뉴딜 분야 대상 기업은 디지털 시설 투자, 디지털∙비대면 업무환경 조성,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 참여기업 등이다. 그린기술 지원대상은 그린기술 사업화, 환경저탄소 생산설비 도입, 저탄소 에너지 효율시설 도입, 환경산업 녹색기술인증산업, 그린 뉴딜 관련 기술개발 기업 등이다.
지역균형뉴딜 분야를 통해 지역 주력산업 48개, 규제자유특구 24개 대상기업을 지원한다. 특히 지역혁신 선도기업 등 우수기업을 발굴∙지원을 위한 별도 트랙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역별 대표 프로젝트도 발굴할 예정이다. 여기에 6,000억 원이 투입된다.
이외에도 여성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4,000억 원을, 금융 접근성이 낮은 사회적경제기업을 위해 8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총액목표제가 도입된다. 특정 분야를 위한 전용자금을 만들어 우선 지원하는 칸막이 방식이 아닌 자금 구분 없이 총액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해당 분야에 우선 집중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총액목표 적용분야에 대해서는 정책우선도 평가 시 가점이 부여된다. 전용 상담창구도 운영할 계획이다. 융자 한도도 60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확대∙적용하기로 했다.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 2조 원 지원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업 유형별 맞춤형 지원도 강화한다. 7년 미만의 창업기업에 1조 1,000억 원을 지원할 전망이다. 특히 비대면 분야 창업을 위한 전용 자금이 1,000억 원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일자리 창출 유지기업, 미래기술 보유기업, 고성장 기업 등도 지원한다.
7년 이상 성장기업은 건축비용, 시설 도입 후 필요한 초기 가동비를 위해 1조 1,700억 원을,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대상 기업과 자동화 시설 도입 기업 등을 위해 6,000억 원을 지원한다.
내수기업의 수출과 수출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2,500억 원을 지원한다. K-방역 등 한국 수출을 선도한 K-수출강소기업과 디지털∙온라인 수출기업 전용자금 1,000억 원, 코로나19로 피해를 겪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해외수출 지원을 위한 전용자금 1,500억 원도 신설할 계획이다.
사업전환 및 재도전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여기에 2,500억 원이 투입됐다. 사업전환 승인기업에 1,000억 원을 지원한다. 또 M&A(인수∙합병)을 위한 사업전환 시범사업이 50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기술혁신형 재창업 기업에 1,000억 원을 지원한다.
기존 운전자금에만 한정된 구조개선자금의 지원범위도 확대된다. 코로나19 위기 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도 5,000억 원 규모로 운영하기로 했다.
비대면화 등 수요자 중심으로 제도도 개선될 전망이다. AI(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24시간 상담서비스를 지원하고 서류 간소화와 함께 빅데이터 기반의 AI 평가모형도 개발할 계획이다. 또 시간과 장소 구애 없이 대출 약정이 가능한 전자약정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28일부터 전국에 있는 32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본부에서 2021년 중기정책자금 사전상담이 진행된다.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비대면으로 이뤄진다.
[스타트업투데이=염현주 기자] yhj@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