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펀드 결성액, 최고기록 갈아치웠다···6조5천억으로 ‘껑충’

중기부, 2020년도 벤처펀드 결성실적 분석 결과 발표 마중물 역할 톡톡히 한 건

2021-01-14     임효정 기자
ⓒ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중기부)는 2020년도 벤처펀드 결성실적을 분석한 결과, 벤처펀드 결성액이 최초로 6조 원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인 6조 5,676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0년 벤처펀드 결성실적은 2019년 대비 약 54.8% 늘어난 6조 5,676억 원, 신규결성 조합 수도 역대 최다인 206개로 집계됐다.

2020년도 벤처펀드 결성실적은 역대 최초 6조 원을 돌파한 기록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 결성실적인 2018년 4조 8,470억 원을 경신한 역대 최대 결성 수치다.

출처: 중기부

2020년 1, 2분기까지 주춤했던 펀드결성 실적이 3분기에 2019년 대비 약 49.5% 증가하기 시작했고, 4분기에만 3조 6,946억 원이 결성되면서 2019년 대비 약 111.1% 증가했다.

4분기는 3분기와 비교해 약 118.9% 증가하면서 3분기 누적치인 2조 8,730억 원보다 높은 펀드결성 실적을 기록해 전체 펀드결성 실적 상승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20년 벤처펀드 신규결성에 대한 출자자 현황을 살펴보면, 모태펀드 등 정책금융 부문 출자가 약 2조 2,465억 원, 민간부문 출자가 4조 3,211억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책금융 출자 부문을 세부적으로 파악해보면 모태펀드에서 3,570억 원, 산업은행, 정부기금과 같은 기타정책기관에서 3,157억 원 등 출자가 크게 늘면서 정책금융 출자가 전년 대비 약 60.5% 가량 늘어났다.

지난 2분기까지 계속해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였던 민간부문 출자는 정책기관 등 출자가 늘면서 3분기부터 증가세로 돌아서 2019년 대비 약 52.0% 증가했다.

이 중 외국인 출자와 특정금전신탁을 통해 투자하는 개인은 2019년 대비 각각 1,201억 원, 1,311억 원가량 줄었지만, 연금․공제회, 금융기관, 법인 등의 출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민간부문 출자가 늘었다.

출처: 중기부

2020년도 전체 펀드결성 대비 모태 자펀드 비중은 0.3% 감소하고, 모태펀드가 견인한 민간․정책 기관 출자금액은 오히려 7,729억 원 늘어 모태펀드가 벤처투자 시장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모태 자펀드 결성액은 3조 2,320억 원으로, 전체 펀드 결성액 6조 5,676억 원 중 약 49.2%를 차지했으며, 이는 2019년 전체 펀드 결성액 대비 비중인 49.5%보다 약 0.3% 감소한 수준이다.

케이(K)-유니콘 프로젝트, 스케일업 펀드 등의 영향으로 펀드의 대형화 추세도 확인됐다. 2020년에 1,000억 원 이상 결성된 펀드는 15개로, 전체 206개 조합 수의 약 7.3%를 차지했다. 2018년을 제외하고 1,000억 원 이상 대형펀드는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2020년 신규결성 펀드 중 결성 규모 상위 10개 펀드의 총 결성액은 총 2조 2,041억 원으로 전체 결성금액의 33.6%를 차지했다.

최대 규모의 펀드는 4,669억 원으로 결성된 ’에이티넘 성장투자조합 2020‘으로, 종전 최대결성 펀드보다 약 1,100억원 이상 큰 규모였다.

2020년 결성된 펀드를 운용사별로 보면 약 95% 이상의 비중을 창업투자회사와 유한책임회사(LLC)가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0년 8월 12일 제정‧시행된 벤처투자법에 따라 창업기획자의 벤처펀드 결성이 가능해지면서 창업기획자가 운용하는 벤처펀드 11개가 2020년에 최초로 결성됐다.

이처럼 기존의 펀드 운용사들 뿐만 아니라 창업기획자도 벤처펀드 결성이 가능해지면서 앞으로 다양한 운용사들의 벤처펀드 조성을 기대해볼 수 있게 됐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확대된 벤처펀드는 벤처투자 시장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주역이 돼 우리 경제가 코로나19로부터 회복하고 도약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트업투데이=임효정 기자] hj@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