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지영 칼럼] 원격근무가 조직의 혁신성과 창조성을 저해하는가?②

조직 문화와 개인적 특성의 개선이 조직 성과 향상에 도움

2022-12-09     나지영 광운대 기능성게임연구소 박사

[스타트업투데이] 저자는 원격근무가 조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조직문화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했다. 

연구 결과, 개인과 조직 측면에서 원격근무 효능감은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기 효능감과 디지털 역량, 조직문화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격근무라는 업무 형태 자체가 조직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게 아니라 조직문화와 개인적 특성이 조직 성과 향상의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기 효능감, 디지털 역량과 조직 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파악 

구성원들은 원격근무제를 통해 업무의 성과와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기가 진작되며, 기업의 입장에서도 직무 만족도 제고, 무단결근 감소 등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IBM, 자포스 등 원격 근무의 원조격인 회사들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성과 창의성을 저하시킨다는 이유로 원격근무를 폐지하기도 했다. 특히, 이들은 구성원들 간의 대면(Face-To- Face)이 가져오는 효과를 강조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에 대해서는 원격근무가 단순히 조직의 생산성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인지, 조직의 생산성으로 이어지지만, 혁신성과 창조성이 결여되는 방식인지는 구체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이런 관점에서 저자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원격 근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조직 문화가 기업의 성과에 매개 역할(둘 사이에서 양편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근무 시 조직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원격근무의 효과성, 개인적 요인(자기 효능감, 디지털 역량), 조직 문화로 구분했으며, 각 요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원격근무의 효과성 

원격근무를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를 조직, 개인 각 주체의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 

 

(2) 자기 효능감 

원격근무를 하는 데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잘 응용하여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

 

(3) 디지털 역량

다양한 디지털 도구들을 이용하여 체계적인 사고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료 구성원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 

 

(4) 조직 문화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고 응용하는 기본적인 가치체계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근무 효능감(개인적 측면-출퇴근 소요 비용, 일과 삶의 균형 등, 조직적 측면-인재 채용, 회사 운영 비용 감소 등)은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기 효능감, 디지털 역량 그리고 조직 문화 요인은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 문화는 다른 요인들(자기효능감, 디지털 역량)과 조직 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원격근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 필요 

언론에서는 원격근무를 단순히 새로운 근무 형태로 인식해 직접적인 조직 성과에만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 결과, 원격근무의 효능감과 조직 성과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격근무 시행 시 업무형태의 변화 자체가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게 아니라 조직문화와 개인적 특성의 개선이 조직 성과 향상의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본 연구 결과만으로 조직 성과와 원격근무의 연관성을 모두 파악할 수는 없지만, 기존의 일원적인 개념으로 접근한 원격근무 효능감과 조직 성과 사이의 관계성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원격근무 상황에서 조직 문화는 구성원들이 각자 흩어져 있어도 서로 신뢰하고 협력할 수 있는 연대감을 고취시키는데, 이는 조직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앞서 서술한 조직 성과 향상 요인인 혁신성과 창조성도 조직 문화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원격근무 시행 기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나지영 박사는∙∙∙ 

- 현 광운대 기능성 게임 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 현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편집위원 

- 전 IT 컨설팅 회사 차장 

- 이화여자대학교 영상미디어 박사 

*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투데이=편집부 ] news@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