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봇-LG CNS, 컨소시엄 구성∙∙∙서비스로봇 업계의 초격차 실현 목표
인천국제공항의 다기종 로봇 제작 및 5G 디지털트윈 관제 구축사업 계약 체결 클로봇, AI 기반의 로봇 서비스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제시스템 공급 LG CNS, 로봇∙디지털트윈 인프라, 5G 특화망, 지능형 로봇 등 구축
[스타트업투데이] 클로봇(대표 김창구)이 LG CNS와 구성한 컨소시엄이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다기종 로봇 제작 및 5G 디지털트윈 관제 구축사업’ 계약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구축사업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기업인 클로봇과 디지털전환(DX) 전문기업 LG CNS가 컨소시엄 구성 후 입찰해 참여했다. 주요 대기업 컨소시엄과 경쟁을 통해 최종 선정됐다.
클로봇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안내로봇 서비스, 보안로봇 서비스, 도슨트로봇 서비스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관제시스템을 공급한다. LG CNS는 로봇∙디지털트윈 인프라, 5G 특화망, 지능형 로봇 등을 구축한다.
클로봇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이기종 통합관제시스템인 ‘크롬스’를 더욱 고도화해 인천공항에 공급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클로봇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디지털트윈 기술이 적용된 이기종 로봇 관제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게 된다. 또 AI와 결합된 특화 로봇 서비스로 더 쉽고 직관적으로 로봇을 이용하고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더욱 고도화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서비스로봇 업계의 초격차를 실현한다는 것이 클로봇의 계획이다.
클로봇은 현재 안내로봇 및 이기종로봇 관제 분야에서 국내 가장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공원공단이 있다. 이외에도 전국 100여 개 현장에 클로봇의 서비스가 탑재돼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문화정보원이 2018년부터 진행하는 큐레이팅로봇 구축사업에도 7년 연속 선정됐다. 이를 통해 전국 국립박물관에 고도화된 전시 해설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사업자 선정은 클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높은 품질과 다양한 구축 경험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클로봇 박상균 서비스로봇사업부장은 “이번 사업 선정 과정 중 기술성 평가에서 클로봇이 경쟁사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것은 그동안 꾸준히 투자해온 이기종로봇 관제 시스템 역량과 국내 최다 레퍼런스를 보유한 로봇 서비스 역량이 국내 최고라는 반증”이라며 “전사 역량을 집중해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클로봇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유지 보수까지 전 분야에 걸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10월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진행 중이다.
[스타트업투데이=김지민 기자] news@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