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 기업 모집∙∙∙중소기업의 채용∙파견∙양성 지원

중소기업의 연구인력난 해소 및 기술 경쟁력 강화 지원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보유한 중소기업 대상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에 선정된 기업 우선 지원

2025-01-31     김석진 기자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투데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가 ‘2025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의 연구인력난 해소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 인력의 ▲채용 ▲파견 ▲양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된 지원 대상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다.

우선 중소기업이 학∙석∙박사 연구인력 채용 시 정부가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한다. 특히 내국인 연구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수한 외국인 연구인력 매칭도 함께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K-워크(Work) 플랫폼을 통해 구직 중인 외국인 연구인력과 고용계약을 체결하면, 중기부에서 비자 추천을 통해 전문인력(E-7-1) 비자발급을 지원한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의 전문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기술 애로 해결 등 업무를 수행한다. 정부는 파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한다.

이외에도 권역별로 선정된 연구인력혁신센터를 통해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을 매칭한다. 연구∙개발(R&D) 과제 수행 후 채용이 확정되면 R&D 과제비 최대 1,200만 원을 6개월 이내로 지원한다.

올해는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이라는 R&D 정책 방향에 맞춰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에 선정된 기업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갖추고,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3월 중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별 공고할 예정이다.

중기부 김우중 지역기업정책관은 “글로벌 기술패권시대에 지역 중소기업에 필요한 우수한 연구인력을 양성해 공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 중기부의 대표적인 지역특화프로젝트인 ‘레전드50+ 프로젝트’ 등 지역 및 첨단 산업과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지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촘촘히 지원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스타트업투데이=김석진 기자] sjk@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