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오, AI 기술 기반 중소기업 특화 M&A 중개 플랫폼 ‘씨오M&A’ 출시
정보 비대칭 해소 및 거래 효율 극대화 매출 300억 원 이하 기업 대상 맞춤형 연결
[스타트업투데이] 씨오(대표 엄태오)가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중소기업 특화 인수합병(M&A) 중개 플랫폼 ‘씨오M&A’를 지난 4월 정식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씨오M&A는 고령화와 가업 승계로 인한 소규모 기업 매각 수요 증가에 따라 정보 비대칭과 비효율의 기존 M&A 시장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씨오M&A는 국내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 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매각기업과 인수기업을 정교하게 매칭한다. 특히 대표와 직접 연결 가능한 약 4만 8,000개의 실질 데이터베이스와 연간 2만 건 이상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소싱 채널은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이다.
이와 함께 자체 개발한 AI 매칭 엔진은 외부 공공데이터, 유료정보, 뉴스, 특허, 인증 등 13개 이상의 경로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내부 대표 인터뷰 정보를 결합해, 인수 조건과 전략적 시너지를 고려한 최적의 후보기업을 자동 추천한다. 또 기업 분석 리포트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중개 업무의 90% 이상을 자동화하는 ‘딜 AI 에이전트’(Deal AI Agent) 고도화 버전도 선보일 계획이다.
씨오M&A는 단순한 디지털 플랫폼을 넘어 전국 2만 4,000여 명 규모의 세무사∙설계사 네트워크와 연계된 오프라인 중개 조직을 통해 실제 매물을 발굴하고 매각을 진행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플랫폼에 매물만 등록하면 전문가가 직접 움직여 성사 가능성을 높인다. 특히 신뢰 관계를 중시하는 50대 이상 대표들을 중심으로 조용한 매각을 원하는 수요를 맞춤형으로 대응하며 출시 한 달 만에 50건 이상의 실거래 중개가 이뤄졌다.
최근 중소기업 M&A 전문 중개 플랫폼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대부분 매각 당사자가 직접 매물을 등록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거래 규모나 품질 면에서 한계가 있다. 씨오M&A는 연 매출 50억~300억 원 수준의 우량 중소기업을 핵심 타깃으로 삼고 있다. 인수자 입장에서 ‘원하는 조건의 기업’을 찾기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씨오M&A 엄태오 대표는 “기존의 비효율적인 M&A 중개 시장 구조를 기술로 재편하는 것이 씨오의 사명”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중소기업이 공정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플랫폼을 지속해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스타트업투데이=김석진 기자] sjk@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