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생태계, AI 기반 전환 본격화” 콘진원, ‘2025 AI콘텐츠 인사이트’ 개최  

AI 보편화에 따른 콘텐츠 제작 주체 다양화 및 창작도구 민주화 가속 언급 AI 콘텐츠 글로벌 선도 위한 투자 확대 및 대∙중∙소 협력 생태계 강화 방안 논의 전주기 정책 지원 고도화를 통한 AI 콘텐츠 산업 생태계 확장 전략 수립

2025-06-27     김지민 기자
2025 AI 콘텐츠 인사이트 현장(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스타트업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이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2025 AI 콘텐츠 인사이트’를 개최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창작 생태계의 변화를 조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이 콘텐츠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 가능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업계 관계자 250명이 참석해 산업의 주요 의제에 대해 폭넓게 공유했다.

행사는 ‘AI 기술의 콘텐츠 산업 적용 현황 및 전망’, ‘AI 콘텐츠 투자 유치 및 사업화 전략’ 등 2개 세션과 ‘AI 콘텐츠 생태계 성장을 위한 사업화 전략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패널 토론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CJ ENM 백현정 리더가 AI 기반 콘텐츠 제작 공정 변화를 언급하며, 우수한 소규모 크리에이터의 부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 AI 기반 영화 제작 확산에 따라 콘텐츠 기획∙제작∙유통 구조 전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툰스퀘어 이호영 대표는 AI 기술의 보편화가 창작도구의 민주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일반 창작자도 음악 제작이나 웹툰 창작과 같은 콘텐츠 분야에서 고품질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유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 생태계의 저변 확대와 신규 비즈니스 창출 가능성을 제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AI 콘텐츠 분야의 투자 동향과 사업화 전략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더브이씨 최연진 선임연구원은 2024년 이후 AI 콘텐츠 분야 투자가 지속해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기업 간 거래(B2B) 솔루션과 창작 도구 관련 영역에 투자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셀렉트스타 김세엽 대표는 셀렉트스타가 AI 신뢰성 검증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글로벌 투자 유치 가능성 또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투자 유치 사례도 공유했다.

끝으로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CJ ENM과 빔스튜디오의 공동 제작 사례를 통해 대기업의 자본력∙유통망과 스타트업의 기술력이 융합된 협업 모델의 성공 가능성이 강조됐다. 

또 AI 기술을 활용한 비전문가의 고품질 콘텐츠 제작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창작 환경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전환 가능성이 주요 논의 주제로 부각됐다. 이와 함께 AI 기술 기반의 인터랙티브 콘텐츠 등 신유형 콘텐츠의 확산 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전망도 공유됐다.

콘진원 유현석 원장직무대행은 “이번 행사는 AI 기술이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산업 전반에 어떤 변화를 이끌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며 “콘진원은 앞으로도 AI 기반 창작 기술의 고도화를 지원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 기반을 정교하게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콘진원은 AI 콘텐츠 산업의 생태계 확대를 위해 ▲AI 콘텐츠 분야 신규 지원사업 확대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매칭을 위한 협업 플랫폼 구축 ▲해외 진출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아가 오는 10월 경주, 12월 서울 코엑스 등에서 AI 콘텐츠 관련 콘퍼런스를 열어 국내∙외 기업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산업 기반을 넓혀갈 예정이다.

[스타트업투데이=김지민 기자] news@startuptoda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