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업소’ 이용자 83% 숙박 O2O 앱 이용
비즈뷰-마크로밀 트렌드 조사 : 숙박시설 이용 행태
문성봉 비즈뷰 전문기자
스마트폰의 등장은 많은 부문에서 우리의 생활상을 바꿔 놓고 있다. ‘손 안의 경제’가 그 중 하나다. 스마트폰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확인하고 손가락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O2O서비스 대표적인 예다.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최근 6개월 기준 숙박업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44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숙박업소’와 ‘숙박 앱’의 사용실태를 조사했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숙박앱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했다. <편집자 주>
숙박 앱의 급부상은 숨겨진 욕망의 반영
숙박업소를 주로 이용하는 이유는 ‘여행’이 가장 많은 가운데 데이트(24.6%)가 뒤를 이었다. 연인과의 하룻밤을 위해 숙박업소를 찾았다는 응답은 20대(43.5%)와 미혼자(36.1%)에서 많아 개방적인 성풍속도를 엿볼 수 있다. 호텔과 펜션은 ‘여행’을 위해 많이 이용하는 반면 모텔은 ‘데이트’를 위해 많이 이용한다. 이를 뒷받침하듯 모텔은 20대(57.5%)와 미혼자(54.5%)가 가장 많이 찾은 숙박업소로 나타났다. 각 숙박업소의 유형별로 예약 경로는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호텔을 예약할 때는 대부분 숙박 예약 전용 온라인사이트(44.9%, 중복응답)와 숙박 예약 전용 앱(41.2%)을 이용하고 있다. 펜션과 콘도/리조트, 게스트하우스는 해당 숙박업소의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 예약하는 경우(펜션 51.3%, 콘도/리조트 38.3%, 게스트하우스 40.4%)가 일반적이다. 반면 모텔은 숙박 예약 전용 앱을 이용하거나(53.6%), 예약 없이 직접 찾아가서 이용하는(51.0%) 사람들이 주를 이뤘다. 최근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는 ‘숙박 앱’의 경우 주로 호텔과 모텔의 예약이 많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숙박 앱은 야놀자, 여기어때
소비자 인지도가 가장 높은 숙박 앱은 ‘야놀자’(66%, 중복응답)와 ‘호텔스컴바인’(63.2%), ‘여기어때’(61.8%)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파크’(55.4%), ‘호텔스닷컴’(54.3%), ‘트리바고’(50.3%), ‘에어비앤비’(44.9%), ‘익스피디아’(44.4%)도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숙박 앱이다. 실제 이용경험이 가장 많은 숙박 앱은 ‘야놀자’(31.6%, 중복응답)와 ‘여기어때’(26.3%)였다. 두 앱 모두 국내전용 숙박 앱으로, 국내여행 및 데이트 목적으로 국내 숙박업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문화가 개방적으로 변하면서, 원하는 숙박업소를 예약해서 이용하는 분위기가 자연스러워진 것도 국내전용 숙박 앱을 더 많이 이용하는 이유로 꼽을 수 있다. ‘야놀자’(남성 37%, 20대 48.4%, 미혼자 40.9%)와 ‘여기어때’(남성 31.5%, 20대 38.2%, 미혼자 32.5%) 모두 남성과 20대, 미혼자의 이용이 훨씬 많은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응답자의 82.6%가 한번쯤은 숙박 앱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그만큼 숙박 앱 시장이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숙박 앱은 여행, 기분전환, 데이트 때 이용
숙박 앱을 사용하는 이유는 국내여행의 숙박 장소를 찾기 위해서(65.6%, 중복응답)가 가장 많고 해외여행에서 묵을 숙소를 예약하기 위해(38.6%) 이용한 경우도 적지 않다. 기분 전환(26.2%)과 데이트(23.2%), 단순 휴식(21.1%)을 위한 장소를 찾기 위해서도 숙박 앱을 많이 이용했다. 숙박 앱은 보통 고정적으로 한 두 개의 앱만 이용하는 것(54.0%)이 일반적이다. 특정 숙박 앱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이유로는 “후기가 많고 자세하다”(44.2%, 중복응답)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고정 소비자가 많은 숙박 앱 브랜드는 ‘야놀자’(35.0%, 중복응답)와 ‘여기어때’(31.8%)다.
전체 89.7% “숙박 앱을 사용자 더 늘 것
숙박 앱의 향후 (재)이용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87.9%가 이용해보고 싶다는 의향을 보였다. 숙박 앱을 쓰면 저렴한 가격으로 숙박업소를 이용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인식도 강한 편이다. 10명 중 7명(71.4%)이 숙박 앱으로 결제하는 것이 직접 결제하는 것보다 더 저렴한 것 같다고 생각한다. 숙박 앱의 이용증가는 어느정도 달라진 성(性)인식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했다. 최근 숙박 앱의 증가로 성적인 문제나 편견이 과거 대비 감소한 것 같다고 느끼는 사람들(46.7%)이 그렇지 않은 사람(30.3%)보다 많았다.
국내전용 숙박 앱은 당일예약(59.5%) 비중 높아
국내전용 숙박 앱 이용자들은 미리 예약하는데 이용(40.5%)하기보다는 필요한 당일에 예약하는(59.5%)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업소가 필요한 시점에 앱을 이용해서 알아보는 경향은 특히 젊은 세대(20대 65.2%, 30대 53.3%, 40대 48.2%)와 미혼자(미혼 63.5%, 무자녀 기혼자 52.1%, 유자녀 기혼자 49.3%)에게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나, 미혼남녀 커플들이 데이트를 위한 목적으로 국내전용 숙박 앱을 많이 이용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