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세계 4번째 심해 무인잠수정 기술의 민간 상용화 위한 교두보 마련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호 (출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호 (출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가 심해 무인잠수정인 ‘해미래(海未來)’의 민간분야에서의 상용화를 위해 연구소기업 ‘㈜케이오프쇼어(K-OFFSHORE)’를 설립하고 10일(화) 대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개소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2007년 ‘차세대 심해용 무인잠수정 개발사업’을 통해 120억원 예산을 들여 6,000m급 심해 무인잠수정인 ‘해미래’를 개발했으며, 이는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4번째로 개발된 심해 무인잠수정이다.

그간 해미래는 태평양 마리아나 해저 화산 탐사활동, 천안함 격침사건 조사 지원 등에 투입되어 활약하며 그 성능을 널리 인정받아왔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해미래’의 활용 영역을 국가 연구·탐사사업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으로까지 넓히기 위해 작년 4월 12일부터 5월 9일까지 연구소기업 공모를 추진했으며,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케이오프쇼어’를 연구소기업으로 설립하게 되었다.

‘해미래’를 전담 운용할 연구소기업 ‘㈜케이오프쇼어’는 해양플랜트 서비스 기업인 (주)KOC의 현금출자(70%)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의 기술출자(30%)로 설립됐다. 올해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소기업 등록까지 마쳤다.

㈜케이오프쇼어는 앞으로 ‘해미래’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하고 탐사 장비보완 등 후속 연구개발에도 지속 투자해 나갈 예정이다. 그 외에도 수중건설로봇, 수중통신시스템 등 해양수산부가 개발 추진 중인 최첨단 장비들을 상용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해양 장비 서비스 분야에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기준 해양수산부 해양산업정책관은 “이번에 설립되는 연구소기업이 우리 기술로 개발한 첨단 해양장비 상용화를 위한 기반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하며, 142억 달러 규모의 세계 무인잠수정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