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NGO 단체 컴백얼라이브에 662억 원 암호화폐 기부 유치
카카오, 두나무 등 암호화폐 기부 동참
블록체인 투명성∙공정성, 기부 시스템 적용∙∙∙“실제 기부금 사용 여부 확인 가능”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우크라이나에 암호화폐를 통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CNBC>는 3일(현지 시각) 우크라이나 비정부기구(NGO) 단체인 컴백얼라이브(ComeBack Alive)에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등 암호화폐 기부가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기부 건수는 10만 2,000여 건, 규모는 5,400만 달러(약 662억 원)에 달한다. 

보도에 따르면 이더리움 1,820만 달러(약 223억 원), 비트코인 1,720만 달러(약 211억 원), 국가별 스테이블코인 950만 달러(약 117억 원)어치의 기부금이 모였다. 익명의 기부자는 미국 스테이블코인 테더(Tether)로 100만 달러(약 12억 3,000만 원)를 내놓기도 했다. 

이외에도 인터체인 블록체인 폴카닷(Polkadot) 개빈 우드(Gavin Wood) CEO는 580만 달러(약 71억 원)를 기부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에도 폴카닷까지 기부가 가능해진 배경에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암호화폐 후원 방법을 대폭 확대했기 때문이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의 자국 침공 이틀 뒤인 지난달 26일부터 암호화폐 기부를 받기 시작했다. 

블록체인 분석기업 엘립틱(Elliptic)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가 모금 하루 만인 지난달 27일 1,890만 달러(약 228억 원) 이상의 기부금을 유치했다. 

암호화폐 기부 행렬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자 우크라이나 정부는 도지코인(DOGE)이나 솔라나(Solana) 등 알트코인(Altcoin,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암호화폐)도 기부받기 시작했다. 이로써 우크라이나를 위한 총기부금은 약 5,570만 달러(약 680억 원)로 추정된다. 

 

국내 기업도 암호화폐 기부 이어져

카카오는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42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 클레이(KLAY)를 국제아동구호기구 유니세프에 기부했다(사진=카카오, 유니세프)
카카오는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42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 클레이(KLAY)를 국제아동구호기구 유니세프에 기부했다(사진=카카오, 유니세프)

한국에서도 우크라이나에 암호화폐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4일 42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 클레이(KLAY)를 국제아동구호기구 유니세프(UNICEF)에 기부했다. 이번 기부 캠페인은 사회공헌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진행된다. 

카카오 남궁훈 대표 내정자는 “생명과 안전을 위협받고 있는 우크라이나를 위해 의미 있는 기부에 나서게 됐다”며 “평화와 화합을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이 전달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오는 20일까지 이용자가 우크라이나에 암호화폐를 기부하면 출금수수료 전액을 지원하기로 했다. 두나무는 기부에 동참한 이용자에게 기부를 증명하는 NFT도 지급할 예정이다. 

두나무 측은 “이번 결정 공지 이전에 기부에 참여한 업비트 이용자도 소급해 출금수수료를 지원할 것”이라며 “업비트는 분쟁으로 피해를 당한 우크라이나 국민과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싱가포르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 피스트트러스트(PIST TRUST) 역시 지난달 28일 암호화폐 기반 벤처캐피탈(VC) 세조에셋과 함께 암호화폐 1만 달러(약 1,227억 원)어치를 기부했다. 

 

암호화폐로 기부하는 이유는?

기빙블록은 세이브더칠드런, 미국암협회 등을 포함한 200여 개의 비영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사진=기빙블록)
기빙블록은 세이브더칠드런, 미국암협회 등을 포함한 200여 개의 비영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사진=기빙블록)

암호화폐로 기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동안 일부 자선단체는 암호화폐의 가장 큰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반으로 암호화폐로 지원금을 받기도 했다. 

미국 암호화폐 기부 플랫폼 기빙블록(The Giving Block)은 지난해에만 6,900만 달러(약 846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 기부건을 처리했다고 발표했다. 전년도 420만 달러(약 51억 5,000만 원) 대비 1,500% 증가한 수준이다. 기빙블록은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등을 포함한 200여 개의 비영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 

1991년 설립된 미국 금융서비스 기업 피델리티 자선기금(Fidelity Charitable)은 지난해 초부터 11월까지 2억 7,000만 달러(약 3,311억 원)가량의 암호화폐 기부가 이뤄졌다고 보고한 바 있다. 

앞서 2013년 비트기브(BitGive)는 기브트랙(GiveTrack)을 개발했다. 자선단체는 기브트랙을 통해 특정 프로젝트에 암호화폐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KT는 지난 2019년 KT희망나눔재단의 사회공헌 플랫폼 ‘기브스퀘어’에 블록체인 적용을 완료했고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글로벌 기부 캠페인 ‘라오스 감염병 예방 프로젝트’를 선보였다(사진=KT)
KT는 지난 2019년 KT희망나눔재단의 사회공헌 플랫폼 ‘기브스퀘어’에 블록체인 적용을 완료했고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글로벌 기부 캠페인 ‘라오스 감염병 예방 프로젝트’를 선보였다(사진=KT)

한국 대표 통신사 KT 역시 블록체인을 활용한 기부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KT는 지난 2019년 KT희망나눔재단의 사회공헌 플랫폼 ‘기브스퀘어’에 블록체인 적용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KT희망나눔재단은 ‘라오스 감염병 예방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글로벌 기부 캠페인을 선보였다. 

자선단체가 암호화폐로 기부금을 받게 된 배경에는 실제 기부금이 수혜자에게 제대로 지급되는지에 대한 의심의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만 하더라도 과거 기부금 횡령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지난 2019년 발생한 새희망씨앗 기부금 횡령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새희망씨앗 윤항성 회장은 소외계층을 돕는다며 127억 원이 넘는 기부금을 받았지만, 정작 후원은 하지 않아 실형이 선고됐다. 

이보다 앞서 2017년에는 ‘어금니 아빠’ 이영학이 딸 수술비 명목으로 받은 기부금으로 외제차 구매 등에 사용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다. 

암호화폐로 기부하면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반으로 실제 기부금이 언제 누구에게 어떻게 지급됐는지 누구나 알 수 있다는 게 관련 업계의 시각이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암호화폐의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공정성, 불변성을 기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기부자는 본인이 기부한 기부액이 목적에 맞게 제대로 사용되는지 등을 추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기부 행렬을 계기로 암호화폐가 제도권 안에 편입할 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피델리티 필란트로피(Fidelity Philanthropy) 토니 오오멘(Tony Oomen) 부사장은 지난해 11월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오오멘 부사장은 “암호화폐로 기부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고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며 법정화폐 전환에 대해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에 따른 영향으로부터 투자자의 자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러시아 침공에 피해 본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암호화폐를 통한 후원이 늘고 있다”며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로 일부 국가는 모금활동과 국가의 지갑 공개를 통해 암호화폐를 인정하는 것을 검토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스타트업투데이=염현주 기자] yhj@startuptoday.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