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사업' 공고, 오는 4월 30일까지 주관기관 모집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스스로 제품을 만드는 메이커들의 창작활동공간이 크게 확충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는 3월 22일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현을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사업' 계획을 공고했다. 오는 4월 30일까지 스페이스를 구축·운영할 주관기관을 모집한다.

중기부의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사업'은 혁신적 창작활동인 메이커운동을 사회 전반에 확산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올해 65개소를 시작으로 '22년까지 총 350여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작년 11월 2일에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 수립․발표된 바있다. 

이번에 새롭게 구축되는 메이커 스페이스 65개소는▲ ‘교육과 체험’ 중심의 일반형 공간 60곳과 ▲‘전문창작과 창업 연계’ 기능의 전문형 공간 5곳이다. 일반형 메이커 스페이스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메이커 활동 흥미 유발을 위한 메이커 입문 교육, 창작활동 체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전문형 스페이스는 시제품 제작 등 전문적인 창작활동과 창업 인프라를 연계한 창업․사업화 지원 및 지역 메이커운동 확산을 위한 거점 기능을 수행한다.

주관기관 신청자격은 메이커 운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교육․창작활동 지원 등 전문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한 공공․민간기관 및 단체로, 사업 수행 전용공간(일반형 100㎡ 이상, 전문형 1,000㎡ 내외)과 전담조직 및 상시운영 인력(총괄책임자 제외 일반형 2명 이상, 전문형 7명 이상) 확보돼야 한다. 

선정된 기관에게는 총 사업비의 70%(일반형의 경우 80%) 이내에서 공간 인테리어, 장비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문형은 30억원 내외, 일반형은 2.5억원 내외로 지원하며, 지자체, 민간기업 등 참여기관의 현금 대응투자 규모에 따라 국비 지원을 차등화할 계획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과 단체는 중소벤처기업부 또는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에서 상세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중기부는 사업설명회를 서울(3월 28일, 서울역), 대전(3월 30일, 대전역)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일반형 전문형 메이커 스페이스 개요
일반형 전문형 메이커 스페이스 개요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