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5년간 연구성과에 기반한 실험실 일자리 1만개가 창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고려대 백주년 기념관에서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창출 선포식’을 갖고 그동안 정부의 R&D 투자를 통해 대학·출연연구소 실험실 내에 축적된 과학기술 연구성과가 기업성장과 기술창업으로 이어져 고급 일자리 1만개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실험실 일자리 개념에는 기업설립에 따른 R&D 인력 및 행정인력, 기업성장에 따른 추가 고용인력, 기술이전에 따른 추가 고용 인력, 과학기술 비즈니스 모델 기획·컨설팅 인력, 기술 마케팅 인력, 특허·경영·사업화 등 멘토링 인력, 투자 전문가 등이 포함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1,600억 원의 기술사업화 예산을 투입해 △대학 등의 연구실이 보유한 유망기술을 선별하고 기술수요 기업과 연결하는 미래기술마당 운영 및 기술설명회, 박람회 개최, △ 대학내 기술이전조직과 기술지주회사의 통합 경영 지원과 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 △민간투자를 유치한 (예비) 창업기업 등에 R&D자금을 지원하고, 애로기술 해결, 공공기술이전 및 후속 R&D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전체 기업의 1~10%인 고성장기술기업이 신규 일자리의 45~74%를 창출하고 미국의 경우 4%의 벤처기업이 60%의 일자리를 만들어낸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국내에서도 혁신형 기술창업기업의 평균 고용규모는 9.5%으로 전체 창업기업의 2.85명보다 많고 창업 5년차 생존율도 일반 창업기업의 27%에 비해 기술창업기업은 80%이상으로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