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본격적인 상장 작업 진행∙∙∙2026년 코스닥 입성 목표
산업용 로봇 기술과 스마트팩토리 구축 분야 경쟁력 보유
다양한 산업 로봇 고도화 및 관련 AI 개발 예정
[스타트업투데이] 산업 로봇 스마트팩토리 기업 고성엔지니어링(대표 최창신)이 상장 주관사를 선정하고 코스닥 시장 기업공개(IPO)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고성엔지니어링은 삼성증권과 상장 주관사 계약을 체결하며 IPO를 공식화했다. 본격적인 상장 작업은 내년부터 진행된다. 2026년 코스닥 입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성엔지니어링은 2004년 설립된 엔지니어링 테크기업이다. 산업용 로봇 기술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분야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히든 챔피언’으로 꼽힌다.
고성엔지니어링은 설립 이후 반도체 장비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해 왔다. 현재까지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을 토대로 반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제조 분야에 로봇 기반 올인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고성엔지니어링의 핵심 기술로는 두 가지가 꼽힌다.
첫 번째는 자율주행 로봇(Autonomous Mobility Robot, 이하 AMR)이다. 고성엔지니어링은 시각적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주변 사물을 감지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부터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 맞춤형 하드웨어(H/W), 솔루션까지 산업용 AMR과 관련된 밸류체인 전 분야 개발∙구축 역량을 갖췄다. 이를 토대로 각종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두 번째는 AMR과 협동 로봇을 결합하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bile Manipulator, 이하 MOMA)다. MOMA를 통해 자율주행로봇 AMR에 로봇 팔과 같은 협동 로봇을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협동 로봇은 산업 현장 각 분야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산업 환경에서 작업자를 대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제조부터 의료, 서비스 산업까지 유연하게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평이 나온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한 기업들은 생산 능력을 증가시키고 공정 불량률을 유의미하게 낮출 수 있다. 또 원가를 절감하고 산업 재해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잠재력을 인정받아 고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 타임폴리오자산운용으로부터 약 15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고성엔지니어링 최창신 대표는 “고성엔지니어링 로봇에 AI를 탑재해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힘쓸 계획”이라며 “상장 이후 자금을 통해 다양한 산업 로봇 고도화 및 관련 AI 개발에 속도를 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타트업투데이=한이서 기자] h2s@startuptoday.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