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대학창업지원 프로그램 활용법

 

정부가 대학에게 예산을 지원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것이 교육부가 주관하는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과 중소기업청의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이다.
이 중 LINC사업은 지난해로 종료되고 올해부터는 LINC+ 사업으로 새출발하고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은 성과평가를 엄격하게 하는 한편 지정 대학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바뀐다.
대학의 창업·취업 거점인 두 사업의 내용과 활용방법을 살펴본다.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2012년부터 시작된 LINC는 그 동안 현장실습 학생 수가 이전 1만2,000명에서 4만 명으로,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이 670건에서 1,906건으로, 기술이전 건수가 603건에서 2,578건으로 대폭 늘어나는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뒀다.

정부는 LINC의 사업 유형과 사업 대상, 사업 방식 등을 크게 개선해 올해부터 LINC+로 새로 시작한다. LINC+는 산학협력고도화형과 사회맞춤형교육중점형의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산학협력 고도화형

대학의 체질을 종전의 ‘산학협력 친화형’에서 ‘산업선도형’으로 바꾸겠다는 사업이다. 대학의 연구인력과 기술, 인프라를 활용해 기업의 기술 및 경영혁신을 지원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이 신규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여력을 가짐으로써 고용 창출도 꾀한다.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해 대학별로 특성화된 산업분야를 스스로 정하고 연구 및 인력개발 역량이 집중되도록 지원한다.
특히 종전의 공학계열, 제조업 중심의 사업분야를 인문·사회, 문화·예술 콘텐츠 및 서비스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넓혀 비공학 계열에 적합한 산학협력 모형을 만들어내고 그에 대한 성과지표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에서는 일반대 55개 내외, 전문대 15개 내외의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며 관련 예산은 2,921억 원이 책정돼 평균적으로 42억 원 가량이 배정될 수 있지만 정부는 대학별로 사업 규모와 특성에 맞는 사업비(20억~50억 원)를 신청하도록 했다.
사회맞춤형 교육중점형
채용과 바로 연결될 수 있는 맞춤형 학과와 교육과정을 신설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취업과 밀접하게 연계되도록 대학 교육을 혁신해 국가적인 인력 미스매치와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소한다는 구상이다.
산업체와 대학이 공동으로 교육과정과 교재 등을 개발하고, 학생 공동 선발, 산업체 전문가를 교원으로 활용하는 등 공동설계와 운영으로 현장 밀착도를 높인다. 해당 학과 졸업 학생은 해당 산업체나 협력업체에서 채용한다.
정부는 실습장비 등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350억 원의 예산으로 일반대 20개 내외, 전문대 44개 내외의 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 4월 21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5월중 심사와 평가를 실시하고 6월에 선정대학이 발표된다.

LINC+ 대학 어떻게 활용하나

자신이 가려는 대학을 선택할 학생들이라면 ‘사회맞춤형 교육중점형 LINC+’ 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이 개설하게 될 학과를 눈여겨 봐야 한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에 입학하면 취업으로까지 연결되므로 공부와 직장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6월에 선정대학이 발표되면 학교별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맞게 준비를 진행해야 한다.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은 대학교가 지역사회의 창업지원 거점 역할을 맡아 창업자 발굴, 창업자 교육, 사업화 지원, 후속 지원 등 창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1년에 15개 대학, 예산 250억 원으로 시작했다. 2013년 18개 대학, 402억 원, 2015년 28개 대학 652억 원 등으로 사업규모가 매년 확대돼왔다. 올해는 지난해 보다 6개 대학이 늘어난 40개 대학을 선정해 922억 원의 예산을 지원키로 했다.
그러나 단기실적 위주의 평가 방식과 성과 부실대학에 대한 미온적인 처리 등 문제점이 드러나 이번에 평가 및 운영방식을 바꿨다.

 

창업선도대학 어떻게 활용하나

창업선도대학은 기본적으로 1인당 13㎡, 20인 이상이 무상으로 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최소 7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배치돼 창업에 대한 원스톱 상담을 해 준다.
또 각 지역의 산업 특성에 맞도록 구성한 대학생 대상 6개 이상, 일반인 대상 3개 이상의 창업강좌가 개설되고, 100명 이상의 창업 멘토가 예비창업자를 지원하게 된다.
창업 아이디어가 있는 학생이나 일반인은 1년에 2회 열리는 창업자 발굴 사업설명회에 참가해 해당 대학의 창업지원 방향을 점검하고 교내외에서 10개 이상을 운영하는 창업동아리 발굴사업에 지원할 수 있다.
창업선도대학은 해당 지역의 창업 거점 역할을 하도록 돼 있으므로 자신의 창업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어느 지역의 산업 특성에 부합하는 지를 미리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는 앞으로 기술창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갈 계획이라는 점도 참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