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산업단지 변모시켜 청년 취·창업 전진기지로 개발

최근 심각한 청년 고용문제 해소를 위해 범정부적인 대책 중의 하나로서, 낙후된 노후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공간으로 바꿔 나간다는 계획을 담은 ‘청년 친화형 산업단지 추진방안’을 산업통상자원부(백운규 장관)가 22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청년이 선호하는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노후산단을 ▲창업과 ▲혁신 생태계, 그리고 ▲우수한 근로‧정주환경을 두루 갖춘 산업단지로 개편한다는 내용이다. 산업단지는 전체 제조업 고용의 49.2%(‘16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어 청년 신규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잠재성이 큰 반면, 청년이 선호하는 정보기술(IT)‧지식산업 등 신산업 비중이 낮고, 착공 30년이 지난 노후산단 증가로 근로‧정주환경도 악화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우선 ▲창업 부문에서는 산업단지를 청년 창업과 신산업 창출의 전진기지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지식산업센터를 대폭 확대하고,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입지제도를 개선한다. 휴·폐업 공장 리모델링을 통해 저렴한 임대공장을 제공할 계획이다.
▲혁신 생태계 부문에서는 중소 중견기업의 혁신역량을 확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일자리 창출을 선도한다는 계획을 추진한다. 지방 대학생들의 직접 고용에 효과가 있는 산학융합지구를 확대하고, 산학연 공동 비즈니스 협력모델을 개발·확산할 계획이다.
▲우수한 근로·정주환경로의 개선을 위해서는 산업단지별 특성과 지역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다. 청년들의 유휴공간 확충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함과 동시에, 산단별 특성과 지역의 현장수요를 반영, 산단 지원 관련 범부처 지원 사업들을 산단별 수요 맞춤형으로 패키지 지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투자 유치 촉진, ▲정부재정 투입 확대(‘18년 산업부 8개 사업 예산 1,328억원+α), ▲청년이 근무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우선,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올해 6개 선도 산업단지를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내년부터 신규로 추가 지정해 ‘22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