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를 생산하면서 전기를 써서 빛을 내는 첨단 전지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 김진영 교수 연구팀은 빛 에너지의 흡수와 발광이 모두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물질을 사용해 같은 소자에서 발전과 발광이 가능한 새로운 복합기능성 소자를 만들어 지난 8월 10일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인 ‘에너지 및 환경과학’에 게재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과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산화물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태양전지와 발광소자(LED)는 구조와 제작공정이 유사하지만 작동되는 방식이 정반대여서 그 동안 태양전지와 발광소자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가 각각 진행돼왔고 이들에 대한 통합연구는 부족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소자는 사물인터넷에서 전원 및 디스플레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소자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위 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관련 없습니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