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무진한 활용 범위로 꾸준한 상승세 유지 전망
제도적 안전장치는 아직 부실해
가상자산 규제 대상에 포함하려는 움직임에 주목

[스타트업투데이]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는 대체불가능한 토큰, NFT다. 올해 NFT 시장은 메타버스와 결합해 기하급수적으로 커졌으며, 새로운 경제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만 파급력이 클수록 이면의 그림자도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 지난해보다 10배 커진 NFT 시장….꾸준한 상승세 전망

블록체인·NFT 시장조사업체 댑레이더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NFT 거래액은 250억 달러(약 30조 원)로 2020년 거래액 9,490만 달러(약 1,130억 원)보다 260배 이상 늘어났다. 현재 NFT 시장 규모는 지난해보다 10배 정도 커졌다. 시장 성장 속도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NFT 분석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전 세계 NFT 월간 판매량은 2,300억 원이다. 1년 뒤 올해 2월에는 2조 3,000억 원을 기록했다.

NFT는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과 화학적으로 결합해 융합 콘텐츠를 생산 중이다. 트렌드에 민감한 국내외 빅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도 차기 먹거리로 NFT 사업을 지목하고 사업을 추진 중이고, 일반인들도 NFT를 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NFT 거래량은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활용 요소가 무궁무진해 앞으로 NFT가 다룰 자산 영역의 폭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후오비코리아 분석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는 NFT의 등장은 가상자산의 핵심이자 블록체인 산업을 이끌어온 가상자산의 불안정한 시장상황과 맞물리며 존재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 급증하는 수요만큼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

새로운 경제 생태계의 변화에 따라 기존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들 역시 NFT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급증하는 수요만큼이나 NFT에 대한 저작권 문제나 거래소 에 대한 각종 사기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인 요소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19일, 세계 최대 NFT 거래 사이트에서 고객 32명이 피싱 범죄에 노출돼 20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NFT는 어디까지나 데이터의 위조·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에 불과하며, 해킹이나 피싱을 예방해주지는 않는다는 걸 보여준 사례다.

업계 전문가는 “블록체인을 쓴다고 해서 NFT 거래소가 다른 사이트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건 오산”이라면서 “휴대전화·생체인식 등 개인정보를 이용한 2차 인증을 적용하지 않는 이상 오픈시 피싱 사건과 같은 범죄가 재발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월에는 일명 '러그풀', 즉 투자금을 유치한 뒤 운영진이 사라지는 일이 있었으며, 업계 관계자들의 자전거래 정황이 드러나 파장이 일기도 했다. 자전거래는 NFT 판매자와 구매자가 같은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거래액 부풀리기'를 할때 흔히 사용되는 수법이다. 

지난 2일 글로벌 블록체인 데이터 기업 체이널리시스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자금을 자체 조달한 주소로 NFT를 25회 이상 판매한 사용자 262명 중 수익을 낸 자전거래자 110명의 수익은 약 890만 달러(약 107억 원)로 조사됐다. 이에 NFT도 가상자산(가상화폐)과 함께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금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 NFT도 가상자산에 포함될까?...규제 움직임 일어

최근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NFT를 규제 대상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각국 정부의 NFT 규제 대상 포함 의도는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최근 알고 있는 잦은 논란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새로운 지침을 통해 NFT를 규제 대상에 새롭게 포함시켰다. 투자와 결제의 대상으로 NFT가 활용된다며 가상화폐와 동등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미국은 증권거래위원회(SEC)도 NFT의 증권서 여부를 조사하며 규제가 임박했다는 추정이 나온다. 지난 2일(현지시각) 블룸버그,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SEC는 NFT 발행자와 발행자가 이용하는 거래소에 대해 SEC 기준을 어겼는지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의 쟁점은 NFT가 일반 주식처럼 자금확보 수단으로 이용되는지 여부다. SEC측 변호인은 이미 NFT 제작자와 가상자산 거래소들에 NFT 발행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소환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금융당국도 NFT와 같은 최신 블록체인 기술 과세 여부를 논의 중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지난해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저작권 문제가 늘 제기될 수 있다는 위험을 알고 있다"며 "이런 점을 반영해 NFT의 정의와 규제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투데이=김가람 기자] snowcat74@startuptoday.kr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