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자동화 리포트 등 신기술 적용∙∙∙보안 점검 시간 88% 감소
텔레그램 탐지 기능 정식 오픈∙∙∙다양한 사이버 위협 수집 채널
복잡한 사이버 위협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AI 기술 고도화 계획
[스타트업투데이] 인공지능(AI) 및 보안 전문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 에스투더블유(대표 서상덕, 이하 S2W)가 통합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플랫폼 ‘퀘이사’(QUAXAR)에 AI 비서를 적용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될 업그레이드 퀘이사는 고도화된 지식 그래프 기술을 활용한 AI로 방대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선별하고, 각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 사이버 위협 관리의 효율성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업데이트의 주요 기능으로는 ‘AI 비서’와 ’AI 자동화 리포트’가 있다. AI 비서는 퀘이사 첫 화면에서 감지된 위협 가운데 사용자가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정보를 브리핑해주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모듈 내 기능을 조회하지 않아도 퀘이사 첫 화면에 탑재된 AI 비서를 통해 위험한 취약점, 기업의 자산 유출 데이터, 주목해야 할 분석 리포트 등 필요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보안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수고를 약 88% 감소시킨다.
AI 자동화 리포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기업 맞춤형 분석 보고서 생성 후 사용자 전달까지 평균 5분 안에 가능해졌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기존 대비 약 16배 빠른 속도로 복잡한 보안 보고서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AI 기능 외에도 사이버 보안 성능 역시 한층 강화했다. 텔레그램 탐지 기능 정식 오픈 이후 현재 수집하고 있는 텔레그램 채널은 약 1만 개에 이른다. 이를 통해 사이버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위협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됐다.
업데이트된 기능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고안한 사용자환경(UI)도 눈에 띈다. 사용자가 방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설계했다. 이외에도 데이터 유출 모니터링, 외부 자산 공격 표면 관리(ASM) 기능 강화 등을 통해 기업의 데이터 보호와 자산 관리에 있어 새로운 차원의 보안을 제공한다. 이번 업그레이드 퀘이사는 오늘 14일 내로 완료될 예정이다.
S2W 서상덕 대표는 “AI 비서가 탑재된 진화한 퀘이사의 탄생은 사이버 보안에 AI 기술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보안 담당자들의 사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며 “AI를 활용해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영역에서의 보안 관리 수준을 계속해서 높여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2W는 사이버 보안에 AI를 접목해 초격차를 만들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AI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한 데 이어 기업 도메인에 최적화된 언어 모델 및 지식 그래프 활용 기업 대상의 맞춤형 생성형 AI 플랫폼 ’SAIP’를 공개했다.
[스타트업투데이=김지민 기자] news@startuptoday.kr
관련기사
- 에스투더블유-MS, 생성형 AI 보안 플랫폼 위해 협업∙∙∙글로벌 사이버 보안 시장 리드
- 에스투더블유, 이강만 前 파수 마케팅 총괄 부사장 영입∙∙∙글로벌 진출 본격화
- 다크웹 데이터 전문가 스타트업 '에스투더블유랩', 35억 시리즈A 투자 유치
- IPO로 퀀텀 점프 도모하는 국내 IT 업계 선도 기업은?
-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기업 S2W, 기술성 평가 통과∙∙∙IPO ‘청신호’
- S2W, 싱가포르 정부기관에 AI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공급∙∙∙국내∙외 안보 산업 입지 강화
- S2W-제주도, AI∙디지털 대전환 위해 맞손∙∙∙빅데이터 기술로 공공 부문 첨단화
- S2W, 일본 정부기관에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퀘이사’ 공급
- S2W, SK쉴더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기술력과 네트워크 결합해 시장 입지 공고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