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스타트업 포함 총 12개팀 최종 선정
입주사 공간 ‘성장존’에서 최대 1년 6개월간 입주
[스타트업투데이] 아산나눔재단(이사장 엄윤미)이 기업가정신 플랫폼 ‘마루’(MARU)의 2024년 하반기 입주 스타트업 12개 팀을 최종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아산나눔재단이 운영 중인 마루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터로 창업에 필요한 인프라, 네트워크, 교육 등 종합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마루180’이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에 2014년 4월 처음 문을 열고 이어 ‘마루360’이 2021년 11월에 추가 개관했다. 마루는 기업가정신을 실천하고 확산하는 ‘두어스’(Doers)를 위한 공간이자 창업 생태계 활성화 중심지로 스타트업을 비롯한 국내∙외 벤처캐피탈(VC)과 액셀러레이터(AC) 등이 함께하고 있다.
아산나눔재단은 이번 하반기 마루 입주 스타트업으로 ▲롸잇 ▲르몽 ▲메텔 ▲브이몬스터 ▲소서릭스코리아 ▲올세일코퍼레이션 ▲제틱에이아이 ▲파워테스크 ▲페어리 ▲피트 ▲하이퍼마인드 ▲호미에이아이 등 총 12개팀을 최종 선발했다. 이번 하반기 입주사 중 75%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다. 콘텐츠 생성, 매출∙운영 관리, 업무 자동화, 고객관계관리(CRM)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하반기에 선발된 스타트업은 마루180 또는 마루 360에서 마련된 ‘성장존’에 입주한다. 최대 1년 6개월간의 입주 기간 동안 공간 지원과 성장 지원 혜택을 다양하게 제공받는다.
마루 입주사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무공간을 비롯해 마루 내 모든 회의실, 휴게실, 샤워실, 수면실 등 부대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마루180 내 이벤트홀, 마루360 스튜디오와 세미나실도 멤버십을 통해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마루에서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혜택도 제공한다. 연간 최대 팀당 6억 원 상당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마루베네핏’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우드, 채용, 법률, 회계 등 스타트업에 필요한 서비스를 무료 또는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 가능하다. 70여 명의 업계 최고 전문가 및 선배 창업자로부터 일대일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마루커넥트' 혜택도 제공된다. 나아가 스타트업과 국내∙외 VC를 연결하고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기업설명회(IR) 매칭 프로그램도 경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마루에서는 입주사 간의 상호 교류와 소통을 활성화하는 정기 타운홀 미팅, 동아리, 워크숍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그램도 만나볼 수 있다. 입주사 중 신청자에 한해 스타트업 대표의 회복 탄력성을 제고하는 ‘아산 리더십코칭’,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워케이션을 지원하는 ‘마루리부트’ 프로그램에도 참여 가능하다.
아산나눔재단 천성우 스타트업팀 팀장은 “마루 신규 입주사 선발 과정을 통해 어려운 시기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에 도전하는 많은 스타트업을 만나볼 수 있었다”며 “기업가정신 플랫폼 마루를 기반으로 입주 스타트업들이 마음껏 도전하고 성장하고 나눌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아산나눔재단은 하반기 마루 입주사 12개팀을 새롭게 맞이하며 지난 11일, 12일 양일간 입주 스타트업 대표들이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페이 잇 포워드 워크숍’을 인천에서 진행했다.
[스타트업투데이=한이서 기자] h2s@startuptoday.kr
관련기사
- 아산나눔재단, 13회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선발팀 사업 실행단계 돌입
- 아산나눔재단, 2024 ‘아산 비영리 스타트업’ 선발 8개 기관과 협약 체결
- 오프라이트, 매쉬업벤처스 등으로부터 초기 투자 유치∙∙∙개인용 데일리 플래닝 툴 개발
- 아산나눔재단, 이화여대∙카이스트와 맞손∙∙∙미래 이끌 기후테크 청년 창업가 육성
- 아산나눔재단, 美 샌프란시스코에 실리콘밸리 거점 ‘마루SF’ 설립한다
- “마루SF 중심, 한-미 교류 활성화↑” 아산나눔재단, 국내∙외 창업생태계 기관 14곳과 업무협약 체결
- 아산나눔재단, 2025년 상반기 ‘마루’ 신규 입주기업 모집∙∙∙연간 6억 원 규모 베네핏 지원
- 아산나눔재단, 가구 브랜드 ‘데스커’와 스타트업 사무 환경 개선 위해 맞손
- 아산나눔재단, ‘아산 비영리 스타트업’ 2025년도 성장 트랙 참가 기관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