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인력 채용 최우선 진행 예정
제품 고도화 및 글로벌 진출 준비에 속도
[스타트업투데이] 차세대 무선통신 중계장치인 ‘지능형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을 개발 중인 웨이브샤인테크(대표 김성은∙민병욱)가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이하 한투AC)가 단독 참여했다. 웨이브샤인테크는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핵심 인력 채용을 최우선으로 진행하고, 제품 고도화 및 글로벌 진출 준비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웨이브샤인테크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초저전력 지능형 표면을 통해 기존 유선 및 고출력 중계기 인프라 없이도 통신 음영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타일형 구조로 유연한 확장성이 가능하며 옥외는 물론 지하, 건물 내부, 도서지역, 위성∙드론 통신까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보조 인프라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많은 기업이 AI를 ‘자동차’, 데이터 센터를 ‘주유소’에 비유하며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동차가 실제로 움직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무선 연결 인프라’, 즉 도로 역할은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다. 웨이브샤인테크는 이런 공백을 채우는 AI와 데이터를 잇는 마지막 퍼즐 조각으로, 실시간 연결을 완성하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웨이브샤인테크는 KT, LG전자 등 주요 통신∙전자기업과의 개념증명(PoC)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현재는 제품 양산 및 상용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 작업과 함께 일본∙미국 시장 진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투자금은 ▲핵심 인재 확보 ▲국내∙외 지재권 출원 ▲양산화 기반 구축 ▲CES 2026을 비롯한 글로벌 전시회 참가 준비 및 제품 홍보 콘텐츠 제작 등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한투AC 관계자는 “웨이브샤인테크는 저전력, 모듈형, 고주파 대응이라는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통신 시장의 실질적인 인프라 공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업”이라며 “특히 AI 기반 산업이 확장되는 흐름 속에서 이들의 기술은 ‘무선 연결성’이라는 근본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웨이브샤인테크 김성은∙민병욱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기술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성과 파트너십 가능성을 동시에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AI 중심 사회를 연결 가능한 사회로 바꾸는 통신 인프라 기업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스타트업투데이=한이서 기자] h2s@startuptoday.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