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소비자들의 리서치 데이터를 분석해 트렌드 전망서 '대한민국 트렌드'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는 시장조사전문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2018년에는 ‘1인 체제’가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단순히 가구단위가 2~3인 가구에서 1인 가구로 변모하는 차원을 넘어 대부분의 개인이 ‘나 홀로’ 일상생활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마크로밀 엠브레인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앞으로 전개될 ‘나 홀로 사회’에 대해 조망해본다.

출처: shutterstock

 

‘개인화된 사회성’ 뚜렷해져

2015년 통계청의 인구 총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가 520만 가구로 전체의 27.2%를 점하고 있다. 인구추계에 따르면 2035년에는 1인 가구가 760만 가구로 늘어 3가구 중 1가구(34.3%)꼴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핵가족화를 넘어서 1인 가구의 증가세가 가파른 우리 사회는 작은 것이 아름다운 세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1인용 소형 포장제품이 잘 팔리고, 소형 평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인기를 끌고, 혼자서 눈치보지 않고 식사를 즐길 수 있는 ‘1인 식당’이 늘어나는 등 많은 부문에서 변화가 오고 있다.

‘나 홀로 사회’의 한 특징은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이 아니라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혼자서 밥을 먹고, 커피를 마시고, 여행을 가고, 영화를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심지어 법률소송 등 각종 전문적인 영역에서 조차 스스로 결정하고, 판단하려는 ‘1인 체제’ 성향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조사자료에 따르면, 혼자서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비중이 2009년 14.0%에서 2017년에는 30.4%로 2배 이상 높아졌다. 이는 스타벅스가 표방한 것처럼 커피전문점이 ‘집’과 ‘직장/학교’를 벗어난 제3의 공간으로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지면서 그곳에서 업무, 공부, 독서 등으로 혼자만의 시간을 향유하는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혼자 밥먹는 ‘혼밥’의 이유를 살펴보면 “나 혼자 먹는 게 편해서”(23.8%), “다른 사람과 약속 잡고 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15.3%), “함께 먹으면 내가 먹고 싶은 걸 먹지 못해서”(7.3%), “함께 먹으면 식사시간이 너무 길어져서”(5.7%) 등과 같이 불가피한 상황이 아닌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자신의 취향에 따라 식사를 즐기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홀로 삶의 중심, ‘스마트폰’

이렇게 나 홀로의 삶을 즐기는 1인 체제의 핵심에는 스마트폰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2016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6세 이상 가구원 10명 중 8명(85.0%)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이 85.9%에 이르고 주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8시간 29분이라고 한다. 인터넷 쇼핑도 PC(40.7%)보다는 스마트폰(50.8%)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을 두고 나오면 즉시 가지러 돌아간다는 사람이 73.6%에 이르고, 일상생활에서 궁금한 점은 주로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한다는 사람이 65.5%에 달했다. 이처럼 현대인들은 일상적으로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고, 그 안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으며, 쇼핑과 다양한 여가활동을 해결한다.

더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유지에 부담을 느끼는 현대인들은 ‘관계의 부담’을 지우지 않는 스마트폰으로 ‘타인’의 존재를 대체하기도 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필연적으로 누군가를 필요로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그 역할을 일정 부분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나홀로 되기’를 선호하는 현재의 사회 분위기는 그 동안 사회적 관계 속에 놓여진 개인들이 ‘사회적 의무 혹은 역할’이라는 명분아래 ‘타인’에게 얼마나 억압되어 왔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나홀로 되기’ 현상은 인간관계의 양상도 바꿔 놓고 있다. 사람들은 이제 막연히 ‘교류’나 ‘친목’을 목적으로 타인과 만나는 것이 아니라,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개인의 ‘관심사’ 위주로 뾰족한 초점을 둔 인간관계를 지향한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사회성을 타고난 존재이지만, 현재의 사회성은 ‘철저하게 개인화된 형태의 사회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주방기구들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다. 월드키친의 비젼 플레어 스튜팟(출처: 월드키친)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주방기구들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다. 월드키친의 비젼 플레어 스튜팟 (출처: 월드키친)

 

“늬들이 잘 알까” 전문가 집단에 대한 불신

현재 한국사회에 ‘1인 체제’와 ‘개인화된 사회성’이 확산되고 있는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다.  전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신뢰, 불특정한 타인을 얼마나 믿을 수 있는가에 대한 개념)이 지속적으로 낮아진 것과, 전문가 집단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것 등이 그것이다.

현재 우리사회는 가족(85.0%)을 제외하고는 신뢰관계가 거의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신뢰도가 높은 친척(44.8%)이나 직장동료(41.4%)에 대한 신뢰도마저 50.0%를 하회하고 있다. 이웃사촌이라는 이웃집 사람(22.5%)의 신뢰도도 낮을 뿐더러 전문가인 의사(36.1%), 법률가(20.2%), 전문가로 불리는 사람들(26.8%)에 대한 신뢰도 역시 낮다. 이러다 보니 “전문가가 제공하는 정보라도 그 정보가 정말 사실인지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사람들이 60.5%에 달하고, 병원 방문 전후로 병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는 사람(60.6%)이 많으며, 법적인 문제가 궁금할 때도 스스로 찾아보는 사람(55.7%)도 2명 중 1명꼴이다.

이렇게 낮은 사회적 자본의 환경속에서 우리는 나도 어느 정도는 전문성을 인정받는 분야가 있다고 생각(39.0%)하는 가운데 문제가 생겼을 때 전문가에게만 의지하는 것은 바보 같은 일이라는 의식(39.3%)을 가지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54.5%).

한편 우리 국민들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불안도는 2016년(71.3%) 대비 2017년(65.3%)에 다소 호전됐지만 여전히 불안해하고 있으며, 2018년 실질소득의 변화가능성에 대해서도 40.9%가 2017년과 비슷할 것, 감소할 것 28.9%, 증가할 것 24.1%라는 반응을 보여 긍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장기적인 경제전망이 지속적으로 불투명해지면서 ‘막연한 미래의 장밋빛 전망’을 포기하고, 지금 당장 자신이 느끼는 감정(즉각적인 만족·행복추구 경향)을 더 소중하게 느끼는 현상도 나타나는 모습이다. 즉, 한 번뿐인 인생, 자신을 위해 지금 이순간 즐기며 살자는 욜로 라이프(YOLO Life)가 그것이다. 먼 미래의 일보다 현재 내 삶의 만족이 더 중요하다(53.8%)고 생각하는 가운데 잘 사는 것보다 즐겁게 살고 싶으며(72.2%), 지금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아가야 후회가 없다(75.8%)는 인식이 강하다. 

현재를 사는 우리 사회의 소비자들은 이 불확실한 시대를 ‘혼자서’ 그리고, ‘스스로’ 헤쳐 나가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런 강력한 동력(즉각적인 만족·행복추구 경향)과 낮은 사회적 자본이라는 우리 사회의 환경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한 2018년 이후에도 ‘1인 체제’와 ‘개인화된 형태의 사회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2017년의 소비자들은 2016년에 비해 자존감의 결핍이 다소 줄면서, 보다 본질적인 문제인 ‘먹고 사는 문제’와 ‘지적인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쏟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욕구의 방향으로 보면, 2018년 이후 우리사회의 소비자들은 ‘일자리 문제’와 ‘미래사회’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관심을 쏟을 것으로 전망해볼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