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대학을 혁신과 창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바이오 분야를 창업 붐 확산의 출발점으로 삼기 위한 세부 전략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27일 오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창업 활성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재부, 미래부, 국방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해수부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공정위, 금융위 위원장, 식약처장, 중기청장, 특허청장 등이 참석했다.
대학발 창업 활성화방안으로는 창업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사제도를 마련하고, 창업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구축, 대학창업의 자금기반 확충 등을 추진한다.
기술혁신형 창업 프로그램의 운영과 학사제도 개편을 중점 지원하여 대학의 패러다임을 창업 중심으로 전환해 나가고, 실패에 대한 부담 없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대학창업펀드(’17년 160억 원), 엔젤투자 등의 자금지원도 강화한다.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학교기업 등을 활용하여 현장밀착형 창업교육을 실시하고, 출연연구소·창조경제혁신센터·해외 대학 등 국내·외 유관 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공동 보육 및 글로벌 진출도 확대한다.
그간 사업단 단위로 개별 운영되던 대학 창업지원사업들의 연계·협업 방안을 강구하고, 교원창업 및 기술사업화를 장려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산학협력단의 창업지원기능도 강화한다.
바이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위험, 장기·대규모 투자, 높은 규제 장벽 등 바이오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창업을 지원한다.
초기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1,135억 원의 바이오 펀드를 조성하고, 코넥스 기술특례상장 요건을 완화하는 한편 기업 자신의 자금으로 외부 스타트업 등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인 “바이오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육성 방안을 마련한다.
또 범부처적으로 바이오 규제개선 TF를 운영해 현장 규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첨단 바이오의약품 신규 가이드라인 7종을 제·개정하고, 의료기기 인허가 정보 등 규제정보서비스 제공을 확대한다.
또 병원발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중심병원의 인프라 개방 확대, 병원 R&D-창업 패키지지원사업(114억 원) 등을 추진하고, 바이오 TIPS 확대, 초기 창업기업 전용 R&D 도입(20억 원) 등 R&D 지원을 강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