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 대기업 기부금 줄거나 끊겨
대기업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생력 키워야
‘혁신센터 성과데이’,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돼야

창업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창조경제혁신센터(혁신센터)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철저한 성과 공개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혁신센터 전담 대기업의 기부금이 점점 줄거나 끊기고 있는 가운데, 기업의 기부금에 의존하기보다는 이들과 상생하며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는 이야기다.

2014년 출범한 혁신센터는 전국에 19개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 중 포스코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한국전력에서 자체 운영 중인 빛가람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제외한 17개 센터는 정부에서 주요 대기업을 지정해 센터별로 1:1 전담지원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출범 당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소관했던 혁신센터는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됐다. 현재는 창업진흥원이 전담기관을 맡아 혁신센터 협약 변경 업무, 행사 개최 및 운영을 지원하고 있으며, 예산집행지침 마련, 위탁정산기관 운영 및 정산관리 등을 맡아 전반적인 사업운영을 하고 있다.

(출처: )
자료 제공: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실

예산은 국비와 지방비가 반반씩 편성돼 있으며, 전담 대기업들이 기부금 형태로 지원금을 내고 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실에서 <스타트업투데이>에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전담 대기업의 기부금은 2015년 320억 원에서 2019년 52억 원까지 줄었으며, 올해 대기업의 기부금은 0원에 그쳤다.

이에 대전광역시의회 오광영 의원 등은 “투자를 통해 혁신 인재를 키워서 좋은 인재를 선점한다면 기업과 지역, 대학에 모두 이득이 되는 일”이라며 대기업의 투자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기업의 기부금에 기대는 기존의 구조를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덕균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 명예교수는 “기업은 이윤 추구를 그 존재가치로 하는 집단이다. 이익이 되지 않는 일에 돈을 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이를 강요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지금이라도 초심으로 돌아가서 창조경제의 정의, 그리고 존재 가치에 대한 문제부터 재점검해야 한다. 창조경제, 창조산업, 창조경영 등 정확한 언어의 정의가 필요하다. 스타트업을 장려하는 기관이라면 창조경제라는 단어를 없애고 ‘스타트업진흥원’과 같이 개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주영섭 전 중소기업청장(고려대학교 석좌교수)은 “제도를 중장기적으로 계속 개선해나가면서 혁신센터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주 전 청장은 “’혁신센터 성과데이’를 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잘하고 있는 곳의 성과는 널리 알릴 수 있고, 그렇지 못한 곳은 부담을 느껴 개선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에 기부를 강요할 것이 아니라 대기업들이 스스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의 혁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를 많이 만들고, 혁신센터 액셀러레이터 운영 등을 통해 다각도로 오픈 이노베이션을 열고 대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공동 발전할 수 있는 사례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 역시 “운영 주체를 지역별 전담 대기업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거나 지역 중견기업과 벤처기업, 지역 대학 등 다양한 혁신주체가 참여해 초기 스타트업의 보육·투자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4년 9월, 혁신센터 중 가장 먼저 출범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4년 9월, 혁신센터 중 가장 먼저 출범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타트업투데이=임효정 기자] hj@startuptoday.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