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이상 GP∙LP 시스템 구축∙∙∙킵스, 축적된 모든 기술∙노하우 집대성
설치형 아닌 클라우드 기반 SaaS로 전환∙∙∙사용 편의성↑
쿼타북, 한국예탁결제원, 홈택스 등과 연동∙∙∙실무 비용↓, 데이터 정확도↑ 기대

[스타트업투데이] 로고스시스템(대표 이동현)이 투자 관리 플랫폼 킵스(KiiPS, Korea Innovation Investment Platform Service)를 신규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로고스시스템은 1999년부터 약 23년간 벤처 투자 운용사(GP) 및 출자자(LP)를 위한 투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앞서 로고스시스템은 지난 7월 28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킵스 사업설명회’를 통해 이번 출시를 예고했다. 사업설명회에는 로고스시스템의 고객을 다수 포함해 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 액셀러레이터(AC), 자산운용사 등 다수의 실무자 및 관계자가 참여했다. 

킵스는 투자, 전자결재, 회계, LP 투자심사 관리 등 GP와 LP 사이에 필요한 투자 제반 업무 효율화를 돕는 플랫폼이다. 로고스시스템의 기존 서비스인 VC-ERP가 설치형이었던 것과 달리 킵스는 운영∙보안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를 토대로 한 SaaS 형태의 웹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약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욱 강화된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및 보안 등의 이점을 얻게 된다. iOS와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이 지원돼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번 출시에는 외부 서비스와의 연계가 포함된다. 토스, 오늘의집, 클래스101 등 4,400여 기업이 이용 중인 증권 관리 플랫폼 쿼타북과의 연동을 통해 GP는 포트폴리오 기업으로부터 취합한 데이터를 킵스에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다. 

GP와 수탁은행 간 업무를 연계∙자동화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의 벤처넷과도 연동될 계획이다. 그 외에도 국내 법인카드 및 펌뱅킹 서비스를 연동해 GP의 본계정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메일이나 문자, 카카오톡 등도 예정돼 있다. 

킵스라는 하나의 플랫폼 위에 투자에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를 연결해 한 번에 확인 및 처리 가능하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다. 

로고스시스템 이동현 대표는 “많은 고객사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큼, 킵스를 통해 편의성을 극대화하되, 다양한 케이스를 포괄할 수 있는 개인화 기능도 동시에 확대해 나아갈 생각”이라며 “‘벤처 투자’하면 자동으로 생각나는 서비스로 더욱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고객 만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스타트업투데이=김지민 기자] news@startuptoday.kr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