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지원계획 발표
글로벌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 목표
스타트업 270개사에 향후 3년간 민∙관 합동으로 투자
사업화, R&D 등 총 3,440억 원 지원∙∙∙정책자금, 보증, 수출 등 연계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투데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2023년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정책(프로젝트)’ 사업을 10일 공고했다. 초격차 분야 신규 창업기업 270개사를 선정해 민∙관 합동으로 향후 3년간 3,440억 원 투자, 사업화 및 기술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앞서 중기부는 지난해 11월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정책(프로젝트)’을 발표했고 10대 신산업 분야의 기술기반 스타트업을 선정해 향후 5년간 민∙관 합동으로 2조 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처음으로 270개를 선정하면서 프로젝트를 본격 시행한다. 

중기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술 기반 혁신 스타트업을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는 혁신 견인차’로 발돋움 시키고 세계적인 디지털∙초격차 창업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이번 사업 공고는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정책(프로젝트)’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첫 번째 절차다. 초격차 10대 분야에 해당하는 유망 스타트업을 선정해 기술 사업화와 R&D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일반 창업지원사업의 지원대상은 업력 7년 이하이나 이번 프로젝트) 지원대상은 업력 10년 이하로 확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신산업 스타트업 육성사업과 딥테크 팁스(TIPS) 사업 등 2개로 구성돼 있다. 먼저 ‘신산업 스타트업 육성’ 사업은 10대 초격차 분야 중 올해 글로벌 트렌드와 기술, 시장 수요에 부합한다. 

국가경제의 미래를 이끌어갈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헬스 등 생명∙건강 ▲미래 이동수단 ▲친환경∙에너지 ▲로봇 등 5대 분야의 우수한 딥테크 스타트업 150개를 일반공모 외 민간과 관계부처 추천제로 선발한다. 

해당 트랙의 150개사에 대한 총 지원규모는 사업화 900억 원, R&D 140억 원 등 1,040억 원이다. 선발된 기업은 향후 3년간 최대 6억 원의 사업화자금과 기업 수요에 따라 5억 원의 R&D 자금 등 총 11억 원과 정책자금, 보증, 수출 등을 연계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5대 분야별로 기술전문성과 지원인력, 연계망(네트워크)를 보유한 연구소∙대학 등을 전문기관을 지정해 스타트업을 전담 육성하게 된다. 

올해 새로 선정되는 기업 외에 기존 2020년부터 3년간 혁신분야창업묶음 사업의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 중 글로벌 성장가능성을 갖춘 우수 스타트업 25개사는 별도 평가를 거쳐 추가로 2년간 최대 10억 원의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딥테크 팁스’는 초격차 10대 분야 스타트업 중 기술개발 기간이 길고 인증, 시험평가, 설비 등 비용 소요가 타 분야에 비해 크다. 기존 팁스 운영사로부터 3억 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딥테크 스타트업 120개사를 선발한다. 

딥테크 팁스의 총 지원 규모는 민∙관합동 투자, 사업화 및 R&D 등 2,400억 원이다. 팁스 운영사로부터 3억 원을 투자받고 선발된 기업은 중기부로부터 향후 3년간 R&D 자금 15억 원, 사업화∙해외마케팅 자금 각 최대 1억 원 등 기업당 최대 17억 원과 정책자금, 보증, 수출 등을 연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영 장관은 “올해 3대 성장전략을 디지털 전환, 글로벌 진출을 함께 도약으로 삼아 ‘디지털 경제시대, 미래를 만드는 창업대국’을 비전으로 새로운 한 해를 전개해 나아갈 계획”이라며 “그 첫 번째 단계로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정책(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초격차 스타트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스타트업투데이=염현주 기자] yhj@startuptoday.kr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