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시장, 3억 4,000만 달러로 폭발적 성장세
국내서 NFT 적용 미술품·전시 속속
분양권 추첨·아파트도 NFT로

NF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NF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스타트업투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산업이 성장하면서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NFT)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NFT 시장분석업체 넌펀저블닷컴에 따르면, 전 세계 NFT 시장 규모는 2019년 1억 4,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3억 4,000만 달러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NFT가 새로운 교환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인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NFT란 무엇

NFT는 비트코인처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자산이다. 다만, NFT는 비트코인과 달리 디지털 자산의 고유한 인식 값을 보유하고 있어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된다. 따라서 디지털 자산의 지적재산권을 입증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위조하기 어려운 반면, 추적은 쉽고, 일부분에 대한 소유권이 인정되는 특성으로 인해 가상세계 속의 부동산, 미술품, 게임 등이 NFT로 발행되고 있다.
 

미술품, 고유한 값으로 원작 증명할 수 있어

특히, 문화예술 업계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오프라인 전시를 개최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NFT 작품을 통해 대중과 만나는 사례가 늘고 있다. 

NFT 예술작품은 NFT 거래소를 통해 탄생한다. NFT 거래소 계정을 생성한 후, 작품을 등록하면 작품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 메타데이터가 생성된다. 메타데이터는 타임스탬프와 합쳐져 이더리움 토큰으로 발행된다. 따라서 작품을 위·변조하더라도 고유한 토큰값으로 원작 증명이 가능하다. 

피카프로젝트와 작가 마리킴이 진행한 NTF 적용 미술품.(제목 미정). (그림=피카프로젝트 제공)
피카프로젝트와 작가 마리킴이 진행한 NFT 적용 미술품. 제목 미정. (그림=피카프로젝트 제공)

국내 첫 NFT 적용 미술품은 미술품 분산투자 서비스 스타트업 피카프로젝트가 선보였다. 피카프로젝트는 올해 3월 11일 그림작가 마리킴과 조각가 김봉수의 작품에 NFT를 적용했다. NFT화된 마리킴과 김봉수 작가의 작품은 픽셀네트워크의 디파인아트 플랫폼에서 판매가 이뤄졌다.

마리킴은 인형처럼 큰 눈을 가진 아이돌 그림으로 'K-열풍'을 미술계에도 확산시키려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김봉수 조각가는 대리석,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료를 활용해 조각가로서 시각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피카프로젝트 성해중 대표는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음악을 콘서트에서만 듣지 않듯이, 미술 또한 전시를 통해서만 접하는 시대는 저물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악을 접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처럼, 디지털 그림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미술 시장이 곧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 '디스프레드'와 NFT 아트 육성 에이전시 '누모모'는 지난 5월 7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성수돝 뿐또블루 갤러리에서 국내 첫 NFT 아트 전시회인 ‘토큰 선언서(The Token Manifesto)’를 개최했다.

전시회에는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의 작품 등 약 12억 원의 가치를 지닌 NFT 작품들이 전시됐다. 예준녕 디스프레드 공동설립자는 “디지털 작품의 오프라인 전시회는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는 개최 소감을 전한 바 있다.

 

부동산에도 NFT 접목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명품거리 지역의 메타버스 가상지구 NFT 분양권 추첨 이벤트. (사진=중고나라 제공)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명품거리 지역의 메타버스 가상지구 NFT 분양권 추첨 이벤트. (사진=중고나라 제공)

NFT를 적용한 부동산 열기도 뜨겁다. 중고거래 플랫폼 중고나라는 지난 9월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명품거리 지역의 메타버스 가상지구 NFT 분양권 추첨 이벤트를 진행해 화제를 모았다. 중고나라는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댑', 주소 혁신 스타트업 '인포씨드'와 손잡고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 NFT 프로젝트에는 플레이댑의 블록체인 기술과 인포씨드의 정밀 주소 기술이 융합됐다. 이벤트 참가자 중 추첨을 통해 2,000명에게 분양권을 지급했다.

중고나라 홍준 대표는 “지금까지의 중고거래는 직접 만나서 거래할 수 있는 재화를 거래하는 것이 핵심이었으나 다가올 미래의 중고거래는 재화부터 무형의 서비스까지 거래 상품에는 한계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중고나라는 앞으로도 더 많은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거래 아이템을 발굴하고 이용자의 거래 편의성을 강화해 새로운 중고거래 시장의 모습을 제시하겠다”고 전했다.

MOU 체결식. (사진=미르니 제공)
MOU 체결식. (사진=미르니 제공)

NFT 거래소 미르니는 획기획과 손잡고 메타버스 아파트 NFT 개발에 나선다. 획기획은 혼자 일하는 인디펜던트 워커들을 대상으로 일과 관련된 교류를 할 수 있는 '제조도'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양사는 제조도 플랫폼 내에 투자지구 '화섬'을 개발하고, 메타버스 안에 아파트 NFT를 개발하게 된다. 이후, 미르니 플랫폼을 통해 청약과 분양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르니 양영석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세계에서 인정받는 국산 메타버스 NFT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외 스포츠 업계와 유통업계에서도 속속 NFT를 활용한 서비스와 상품을 선보이는 등 NFT 산업이 성장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타트업투데이=임효정 기자] hj@startuptoday.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