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터러시는 비대면 서비스 지속사용에 유의미한 영향

[스타트업투데이]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반화되고 비대면 수요가 늘면서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되는 추세다. 가게나 식당에서는 비대면 거래가 가능한 키오스크(Kiosk)가 상용화되고 있으며,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8대 비대면 유망 분야’를 선정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중 비대면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는 핵심 분야로는 의료, 교육, 유통을 손꼽는다. 

이전까지는 디지털이 선택이었다면, 이제는 디지털이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 실내에서 QR 코드 체크인 필수화는 디지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일부 사람들에겐 강제된 변화로 ‘디지털 격차’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서 파악한 정보 소외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살펴보면 디지털정보접근 93.7%, 디지털정보활용 74.8%, 디지털정보역량 60.3%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접근성은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으로 상당히 해소되고 있으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활용 능력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면서 리터러시의 개념과 의미도 변화를 맞았다. 급격한 변화 속에 한 명의 사회 구성원이 갖춰야 할 리터러시 역량은 다양해졌고, 수준도 높아진 것이다. 기존의 리터러시는 독해력을 의미했으나, 이제는 ICT 매체의 등장으로 디지털 정보를 해독하는 능력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특히, 비대면이 뉴노멀(New Normal)이 된 현재 상황에서 디지털에 대한 기술적 이해와 활용 능력은 기본으로 여겨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비대면 서비스’란 무엇인가? 

‘언택트(비대면, Untact)’란, ‘부정’을 뜻하는 ‘Un’과 접촉을 뜻하는 ‘Contact’의 합성어다. ICT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과 사람이 접촉 없이도 소통이 가능한 서비스를 총칭한다. 특히 원격화, 무인화, 자동화, 시∙공간의 초월성 등 디지털 기술의 특징을 기반으로 기존의 ‘물리적 행위’와 ‘서비스’가 디지털화되는 과정이나 적용 기술, 나아가 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IITP, 2020). 

한편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반화되고,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비대면을 중심으로 한 경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비대면 경제의 핵심 키워드는 두 가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온라인화’, 기업의 입장에서는 ‘원격 근무’로 들 수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온라인 서비스 영역은 쇼핑뿐만 아니라 온라인 수업, 홈트레이닝, 원격 의료 등으로 확장되었다. 

이렇듯 대면 경제가 위축되면서 이 자리를 비대면 경제가 대체하게 되었고,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ICT 산업의 성장 발판이 될 거라는 예측이 팽배하다. 수많은 기업이 추진해왔으나 실현하지 못했던 변화들이 이제 본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정부 및 관련 기업들은 비대면 인프라 및 서비스에 투자를 늘려야 할 시점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 리터러시가 비대면 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 파악뿐 아니라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Pool(1997)은 습득한 디지털 정보를 해독하고 상황에 따라 독자적으로 재조합하는 능력을 강조했다. 즉, 디지털 기기를 통해 온라인에서 찾아낸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김용영, 주연우, 박혜진(2021)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원격 수업의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했으며, 최미연, 박성복, 이형석(2021)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디어 매체의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했다. 즉, 비대면 서비스 지속사용에 있어 디지털 리터러시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지영 박사는∙∙∙ 

- 현 광운대 기능성 게임 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 현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편집위원 

- 전 IT 컨설팅 회사 차장 

- 이화여자대학교 영상미디어 박사 

*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투데이=편집부 ] news@startuptoday.kr

저작권자 © 스타트업투데이(STARTUP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