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이피피랩, 실시간 에너지 데이터 모니터링 및 전력 중개 플랫폼 운영
발전 사업자와 전력 중개 사업자, 전력 거래소 연결
머신러닝 기반의 재생에너지 예측 기술 개발해 풍력 발전량 예측
[스타트업투데이]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이병선, 이하 제주센터)가 엠와이소셜컴퍼니(대표 김정태, 이하 MYSC)와 공동으로 운용하는 ‘초기 스타트업 육성 펀드’를 통해 브이피피랩(대표 차병학)에 시리즈A 투자를 단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제주센터와 MYSC,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브이피피랩은 가상 발전소 기반의 실시간 에너지 데이터 모니터링 및 전력 중개 플랫폼 ‘플로우-V’(flow-V)를 운영 중인 스타트업이다. 플로우-V는 발전 사업자와 전력 중개 사업자, 전력 거래소를 연결한다. 실시간 예측∙입찰을 통해 실시간 전력 거래의 참여와 운영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머신러닝 기반의 재생에너지 예측 기술을 개발해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력 중개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나아가 잉여 전력을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서비스를 통해 전기차 충전 수익 거래와 정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업 맞춤형 전력 수급 계획 수립 및 재생에너지 자원 연계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2021년에 설립된 브이피피랩은 400MW의 재생에너지 분산 자원과 260개소의 가상발전소 (VPP) 관리 및 모니터링 실증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예측 오차율이 낮은 것이 강점이다. 내년 제주지역의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이 확정되는 시점에 제주에서 VPP 기업으로 실증된 데이터를 활용해 제주의 대표적인 VPP 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기대된다.
브이피피랩 차병학 대표는 포스코 에너지에서 근무하며 VPP 기술 개발과 ESS 운영 실증 경험을 쌓았다. 최근 포스코인터내셜과 유진자산운용에서 인수합병(M&A)과 프로젝트 파이낸싱 경험을 가진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영입해 전문성을 강화헀다.
제주센터와 MYSC 관계자는 “브이피피랩은 제주형 분산에너지 정책에 따라 이미 다수의 실증사업에 참여하며 제주에서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며 “최근 풍력 발전량 예측 기술과 ESS 전력 중개 사업모델로 첫 수익 사례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어 “브이피피랩은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정밀한 예측 기술을 통해 제주의 대표적인 VPP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센터는 지난 4월 중소벤처기업부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 사업 운용사 공모에 MYSC와 공동으로 참가해 비수도권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지역 창업 초기’ 분야에서 제주 최초의 한국모태펀드 운용사로 선정됐다. 제주센터와 MYSC가 업무집행조합원(GP)로 참여하고 제주특별자치도, 한국모태펀드, 카카오,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제주대기술지주가 출자자(LP)로 참여해 35억 원 규모로 조성했다.
[스타트업투데이=김석진 기자] sjk@startuptoday.kr
관련기사
- 제주센터, 내달 2일까지 제주형 오픈이노베이션 참여 대∙중견기업 모집
- 제주센터-MYSC, XR 프로덕션 솔루션 기업 소울엑스에 시드 투자 단행
- 이스트무브먼트, MYSC로부터 시드 투자 유치∙∙∙“웰니스 관광 산업 리드 목표”
- 제주센터, 반려동물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기업 ‘케어식스’에 시드 투자
- 마인드풀커넥트, MYSC와 ‘벤처 스튜디오’ MOU 체결∙∙∙시드 투자까지 성공적 유치
- 온클레브, MYSC로부터 시드 투자 유치∙∙∙“투명한 금융 생태계 조성에 기여”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로컬크리에이터 소상공인 26개사 육성 성과 주목
- 인드림헬스케어, 제주대병원과 MOU 체결∙∙∙다제약물 관리 솔루션 ‘인드림 메디서포트’ 도입
- 아이클로, MYSC로부터 임팩트 투자 유치∙∙∙치과 검진의 접근성∙편의성 개선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오션-밸류업 위드 제주’ 2기 참가기업 10개사 모집
